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신체활동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Physical Exercise on Health

DOI : 10.37727/jkdas.2018.20.3.1381
  • 95

본 연구는 고령자연구패널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운동이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운동 참여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해 조사한다. 45세 이상 중고령자를 중심으로 살펴본 결과, 주 4회 이상의 운동은 주관적으로 판단한 건강상태, 자신의 건강에 대한 만족도, 자신의 삶에 대한 만족도 및 인지도 검사 점수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게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운동에 시간을 할애하는 결정에 있어서, 본 연구는 시간에 대한 기회비용 및 시간에 대한 선호가 중요한 결정요인임을 보여준다. 노동시장 참여로 시간에 대한 기회비용이 높은 개인일수록 운동에 참여할 가능성이 현저히 낮았다. 반면 시간에 대한 선호가 상대적으로 낮은 교육수준이 높은 개인은 운동에 참여할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운동과 같은 건강관리 활동이 중고령자의 건강 상태 유지 및 회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이러한 건강관리 활동에 시간을 할애하는 결정에 있어 개인별로 큰 차이가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시간에 대한 선호 및 기회비용이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중고령자를 중심으로 건강관리 행동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 건강관리 행동에 시간을 할애하는 결정에 있어 중요한 결정요인이 무엇인지를 살펴봄으로써, 보건의료정책 및 만성질환자의 자기관리 지원 정책 등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Using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KLoSA),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physical exercise on health. It also investigates the determinants of time allocation decision among work, leisure and physical exercise. This study shows that moderate physical exercise positively affects health status of individuals who are older than 45. Further, this study shows that opportunity cost of time and time preference are main determinants of time allocation decision on physical exercise. That is, individuals who are still in the labor market are less likely to do physical exercise due to higher opportunity cost of time. Individuals with higher education levels are more likely to do physical exercise due to their lower time preference. This study reports two major findings. First, self-management activities such as physical exercise positively affect health status. Second, there are significant variations in time spent on physical exercise across individuals. This study provides new insights on public health policy targeting elderly as well as self-management support policy for individuals with long-term conditions.

1. 서론

2. 연구방법 및 자료

3. 실증분석 결과

4. 결론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