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한·미 금리차가 환율에 미치는 영향분석

The Impact of US-KOR Interest Rate Spread on the Won-Dollar Exchange Rate

DOI : 10.37727/jkdas.2019.21.2.901
  • 231

본 연구에서는 한·미간 금리차이가 환율에 미치는 영향을 무위험금리평형(covered interest rate parity: CIP)에 근거하여 실증 분석하였다. 표본기간은 1차 금리역전시기인 1999년부터 현재까지이며, 금리변수로는 우리나라의 CD금리와 미국의 LIBOR 3개월 금리의 금리차이를 변수로 하고, 환위험을 헤지(hedge)하기 위한 변수로 FX 스왑레이트를 활용하여, 명목환율에 미치는 영향을 VAR 모형 검정과 충격반응함수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금리차이는 스왑레이트에 양(+)의 영향을 주었으며, 반면에 스왑레이트는 환율에 음(-)의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환율 변화율은 금리차이 변화율에 인과성이 있었으나, 금리차이 변화율은 환율 변화율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았다. 그러나 금리역전 더미변수를 포함한 VAR 모형으로 추정한 결과에서는 금리차이 변화율은 환율 변화율에 양(+)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스왑레이트의 환차익이 금리역전으로 인한 이자율손실을 초과하여 차익거래(arbitrage trading)가 발생하고 외국자본 유입을 통해 환율이 평가절상 된 것으로 판단된다. 시장충격에 대한 반응은 금리차이 변화율이 환율 변화율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한 편이나, 스왑레이트 변화율은 환율 변화율에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This paper tests the validity of the covered interest rate parity by examining the impact of US-KOR interest rate spread on the won-dollar exchange rate in the imbalance period of interest rate spread. This study considers the spread of interest rate (CD-Libor) as well as swap rate for hedging against the risk of exchange rate over the sample period from 1999 to 2018. In this purpose, this study employs the VAR and impulse response function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US-KOR interest spread on the won-dollar exchange rate. From the empirical analysis, the interest rate spread has no relationship with the exchange rate, while the swap rate has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the exchange rate. However, accounting for the dummy variable of imbalance period of US-KOR interest rate spread, the interest rate spread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change of exchange rate. This finding indicates that the gains of swap rate cover the losses of interest rate spread and then an opportunity of arbitrage trading occurs in the won-dollar exchange market. Thus, the cash inflow from investors leads to appreciation of won-dollar exchange rate.

1. 서론

2. 자료 및 연구방법

3. 실증분석

4.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