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성인의 연령군별 근감소증과 건강위험행위의 연관성: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활용(제4기-5기)
Association between Sarcopenia and Health Risk Behaviors by Age Groups in Korean Adults :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IV to V
- 한국자료분석학회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 Vol.21 No.3
- : KCI등재
- 2019.06
- 1523 - 1537 (15 pages)
본 연구는 한국 성인의 연령군별 근감소증과 건강위험행위의 연관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이차 분석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만 20세 이상인 16,270명(20-39세 연령군 4,910명, 40-64세 연령군 7,526명, 65세 이상 연령군 3,83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는 SPSS 25.0 프로그램의 복합표본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하였다. 근감소증 유병률이 20-39세 연령군은 18.8%, 40-64세 연령군은 29.5%, 65세 이상 연령군은 42.8%로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근감소증의 유병률이 증가하였다. 흡연, 고위험 음주, 아침결식, 신체활동 부족의 건강위험행위 4개중 3개 이상을 하는 경우는 20-39세 연령군이 40-64세 연령군과 65세 이상 연령군보다 더 많았다. 20-39세 연령군의 경우 건강위험행위 개수가 0개인 경우에 비하여 2개 이상인 경우에서 근감소증의 위험이 1.399배 증가하고, 3개 이상인 경우에서는 1.818배 증가하여 건강위험행위 개수와 근감소증이 연관되어 있는 반면, 40-64세 연령군과 65세 이상 연령군의 경우 건강위험행위 개수와 근감소증 간에 연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근감소증을 효과적으로 예방하고 관리하기 위해서는 20-39세 연령군은 근육 생성을 극대화하고 40-64세 연령군과 65세 이상 연령군은 근육 유지를 목표로 근감소증의 위험요인인 건강위험행위의 군집적 특성을 반영한 복합적 중재로 건강행태를 개선하는 전략이 효과적이라고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ssociation between sarcopenia and health risk behaviors by age groups in Korean adults using data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IV-V. The total number of subjects in this study was 16,270 (20-39years: 4,910, 40-64years: 7,526, 65years and older: 3,834).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models were performed the association between sarcopenia and health risk behaviors with complex sampling analysis by SPSS 25.0. The prevalence of sarcopenia was 18.8% in 20-39years group, 29.5% in 40-49years group, and 42.8% in 65years and older group. In 20-39years group, the OR for having sarcopenia was 1.399 (95% CI=1.055-1.853) in the having over 2 health risk behaviors group, 1.818 (95% CI=1.236-2.570) in the having over 3 health risk behaviors group, compared with the none having health risk behaviors group. So, in this group alone, the number of health risk behaviors and sarcopenia were relevant. It is necessary to adapt complex interventions to improve health risk behaviors by taking into account clustering characteristics of health risk behaviors for preventing sarcopenia in 20-39years group and managing sarcopenia in 40-64years group and 65years and older group effectively.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논의
5. 결론 및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