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부정정서가 시각 및 공간 작업기억 과제 수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Task-unrelated Negative Emotion on the Visual and Spatial Working Memory Task

DOI : 10.37727/jkdas.2019.21.3.1483
  • 310

본 연구의 목적은 과제와 무관한 정서적 자극이 시공간 작업기억의 처리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과거 많은 연구자들은 부정정서와 공간 작업기억이 동일한 시공간 주의자원을 공유하기 때문에, 부정정서가 시공간 작업기억의 일종인 공간 작업기억 과제를 선택적으로 간섭한다고 제안하였다. 하지만 시공간 작업기억의 또 다른 요소인 시각적 대상 정보를 처리하는데 미치는 부정정서의 영향을 살펴본 연구는 거의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과제와 무관한 부정적 정서자극이 시각 및 공간 과제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시각과 공간 작업기억이 서로 독립적으로 처리되는지 혹은 동일한 주의자원을 공유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실험1에서는 참가자들에게 자극의 모양은 무시하고 위치를 기억하도록 지시하여 공간 작업기억에 대한 부정정서의 영향을, 실험 2에서는 자극의 위치는 무시하고 모양을 기억하도록 지시하여 시각 작업기억에 대한 부정정서의 영향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공간 작업기억과 시각 작업기억 과제 모두에서 부정정서에 의한 간섭효과가 관찰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과제와 무관한 부정적인 정서가 시공간 주의자원을 사로잡아 공간과 시각 작업기억 과제를 간섭한다는 주장을 지지하며, 나아가 공간 및 시각 작업기억이 동일한 주의자원을 공유한다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task-unrelated negative emotion on the visuo-spatial working memory. While previous studies showed that the negative emotion and the spatial working memory share the same attentional resources, little is known whether the negative emotion also affects the visual working memory.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the negative emotion on visual and spatial 2-back tasks by presenting negative valence IAPS (international affective picture system) images before the target stimuli. Participants were asked to memorize either the locations of the presented stimulus regardless of the shapes (in experiment 1) or the shapes of the stimulus regardless of the locations (in experiment 2). As results, compare with neutral valence IAPS images, task-unrelated negative IAPS images interrupted the performances of the visual 2-back task as well as those of the spatial 2-back task.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showed that negative emotion shares the same resources with visual and spatial working memory.

1. 서론

2. 연구 1

3. 연구 2

4. 종합 논의 및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