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축제의 고용 효과에 관한 실증 분석
An Empirical Analysis on the Effect of Local Festivals on Employment
- 한국자료분석학회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 Vol.21 No.6
- : KCI등재
- 2019.12
- 2985 - 2994 (10 pages)
본 논문에서는 지역 재화의 수요함수와 생산함수를 이용하여 지역축제가 수요의 변동요인으로 작용하는 구조적 모형을 도출하고, 지역패널자료를 이용하여 지역축제가 지역 고용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러한 실증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지역축제와 관련한 변수는 수요 변동요인을 통한 고용효과가 유의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지역축제횟수, 지역축제일수, 지역축제 예산 및 지역축제 누적횟수 등 지역축제변수로 고려한 모든 변수들은 지역 고용을 증대시키는데 유의적인 영향을 가지지지 않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둘째, 지역축제변수 이외의 수요변동요인으로 고려한 관광호텔 연숙박객수의 경우에는 지역 고용에 대해서 유의적인 양(+)의 계수가 추정되었다. 이를 종합하면 2000년대 들어 지역축제는 지역 고용을 활성화하는데 성과를 거두지 못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관광호텔 누적숙박객수의 경우 긍정적인 고용효과가 있는 것으로 비추어볼 때, 지역축제가 지향해야할 시사점은 다음과 같이 생각할 수 있다. 지역축제가 고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기 위해서는 축제를 통한 방문관광객수를 늘이고 가능한 한 숙박을 하면서 머물 수 있는 동기나 유인을 제공하는 방향으로 지역축제의 내용과 질적 향상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보인다.
In this paper, we derive a structural model in which local festival acts as a variable of demand shift, and empirically analyze the effect of local festivals on regional employment using regional panel data. Through the empirical analysis, the following results are obtained. First, the variables related to regional festivals show that employment effects through demand fluctuations do not work significantly. In other words, all variables considered as local festival variables, such as the number of festivals, the number of festival days, the budget for local festivals, and the cumulative number of festivals, are estimated to have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change in regional employment. Second, in the case of the number of lodgings of tourist hotels considering the demand shifts other than local festival variables, a significant positive coefficient is estimated for regional employment. Taken together, local festivals have not succeeded in increasing regional employment. In order for local festivals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employment, it would be desirable to improve the content and quality of local festivals to increase the number of tourists visited through festivals and to stay as long as possible.
1. 서론
2. 고용효과 추정 모형
3. 추정 결과
4. 결론 및 시사점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