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농귀촌 현상은 농촌의 인구 고령화 문제를 해결하고 생산력을 확보할 수 있는 중요한 사회현상으로 볼 수 있다. 특히 농업생산에 있어서 4차 산업혁명 기술 중 하나인 스마트팜에 대한 원주민과 귀농인들의 기술수용의도를 연구한 논문의 거의 없는 상황이다본 연구는 스마트 팜 기술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연구하기 위해 확장된 통합기술수용 이론(UTAUT2)을 기반으로 성과기대, 노력기대, 사회적 영향, 촉진조건, 가격 효용 변수를 사용하였다. 변수 중에서 스마트 팜 기술이 실용적 가치를 추구한다는 점에서 쾌락적 동기는 제외시켰다. 또한 습관은 아직 기술 확산이 초기 단계이므로 습관이 형성되기에는 시기상조이므로 제외하였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는 위와 같이 설정된 연구 모델을 검정할 뿐만 아니라 귀농인과 원주민간 스마트 팜 기술수용 요인 차이에 대해서도 검정을 하였다. 구조방정식을 활용하여 가설을 검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스마트 팜 기술사용에 있어서 성과기대, 사회적 영향, 가격 효용은 사용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노력 기대, 촉진 조건은 유의한 영향 관계가 검정되지 않았다. 한편, 귀농인과 원주민 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성과기대와 사회적 영향은 원주민 집단에만 사용의도와 유의한 정(+)의 영향 관계가 검정되었다. 가격 효용에 있어서는 두 집단 모두 유의한 영향 관계가 있었지만, 귀농인 집단이 원주민 집단보다 영향력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술적인 시사점과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return-to-home-village trend can be seen as an important social phenomenon that can solve the aging population problem and increase productivity in rural areas. Few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return and native farmers’ smart farming technology acceptance intention in agricultural production. This study used performance expectancy, effort expectancy, social influences, facilitating conditions, and price value variables based on the UTAUT2 model. Among the UTAUT2 variables, hedonic motivation and habits were excluded. This study also tested the differences in technology acceptance factors between return and native farmer groups. The results of hypothesis testing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re as follows. In the use of smart farming technology, performance expectancy, social influences, and price value had a positive effect on use intention, and effort expectancy and facilitating conditions were not supporte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actors affecting technology acceptance intention between return and native farmers. Performance expectancy and social influences were only supported by the native farmer group. Although price value was supported by both groups, the return farmer group had a stronger intention to use than the native farmer group.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 연구
Ⅲ. 연구설계
Ⅳ. 분석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