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지속가능성 소비의식과 고객만족 간 공익관여도의 조절효과

Moderated Effects of Public Involvement between Sustainability Consumption Consciousness and Customer Satisfaction

  • 420
151847.jpg

본 연구는 지속가능성 소비의식에 대해 알아보고 지속가능성 소비의식과 고객만족과의 구조적관계에서 공익관여도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소비자 266명으로부터 획득한 자료를 분석하여 활용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첫째, 지속가능성 소비의식은 고객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속가능성 소비의식과 고객만족와의 관계에서 조절변수로 공익관여도가 작용함이 확인되었다. 학문적 공헌은 친환경제품에서 지속가능성 소비의식과 고객만족과의 관계에서 공익관여도의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는 점이다. 실무적 시사점은 지속가능성 소비의식을 촉진시키기 위해서는 공익과 얼마나 연관되어 있는지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또한 지속가능성 소비의식을 소비자가 선택하도록 촉진시키기 위해서는 지속가능성 소비의식이 사회적으로 적합하며 올바른 행동이라는 점을 홍보하고, 공익을 위한 소비가 성숙한 시민의 의무라는 교육을 시켜야 한다고 제시하고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sustainable consumption awareness and to examine the adjustment effect of public benefit involvement i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sustainable consumption awareness and customer satisfac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66 consumers from whom data was acquired for analysis and us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first, sustainable consumer awareness had a positive (+) impact on customer satisfaction. Second, it is evident that there is an adjustment effect of public benefit involve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ustainable consumer awareness and customer satisfaction. The academic contribution is that the adjustment effect of public interest interven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ustainable consumer awareness and customer satisfaction for eco-friendly products was examined. Furthermore, in order to encourage consumers to have sustainable consumption awareness, the fact that sustainable consumption awareness is socially acceptable and the proper mode of behavior, and that they should be educated that consumption for the public interest is the duty of mature citizens.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검토 및 연구가설 설정

Ⅲ. 연구방법

Ⅳ. 실증분석 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