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CIT-Sp 영적 안녕감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
Verification of Reliability and Validity of Spiritual Well-being Scale, FACIT-Sp : Focused on Drug Users
- 한국자료분석학회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 Vol.21 No.4
- : KCI등재
- 2019.08
- 2071 - 2083 (13 pages)
연구는 한국 약물사용자의 영성적 특성을 탐색하기 위해 영적 안녕감 측정도구인 FACIT-Sp 척도의 타당성을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영성은 크게 종교적 영성과 비종교적 영성으로 구분된다. 12문항 FACIT-Sp-12 척도는 종교적 영성(신앙)과 비종교적 영성(평온, 의미)의 두 측면을 모두 측정할 수 있는 간명한 척도로 만성질환자의 영적 안녕감을 신속하게 평가사정할 수 있는 측정도구이다. 본 연구는 약물사용자 748명의 조사자료를 활용하여 FACIT-Sp 척도의 신뢰도, 타당도를 검증하였으며, 검증된 척도를 통해 한국 약물사용자의 영적 안녕감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 약물사용자의 영적 안녕감은 3요인, 10문항으로 구성된 FACIT-Sp-10 척도에 의해 가장 잘 설명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FACIT-Sp-10 영적 안녕감 척도의 신뢰도, 타당도는 통계적으로 수용할만한 수준으로 분석되었다. FACIT-Sp-10 척도를 활용하여 한국 약물사용자의 영적 안녕감 특성을 분석한 결과, 연령이 높거나, 학력수준이 높을수록, 또는 배우자가 있거나, 종교가 있는 경우 전반적인 영적 안녕감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현재 정신과적으로 진단받은 질환이 있는 경우 전반적 영적 안녕감 수준은 낮게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FACIT-Sp scale, a tool for measuring spiritual well-being, in order to explore the spiritual characteristics of Korean drug users. Spirituality is largely divided into religious and non-religious spirituality. The FACIT-Sp-12 scale is a concise tool to measure both aspects of religious spirituality (faith) and non-religious spirituality (peace and meaning), and can quickly assess the spiritual well-being of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s. This study used the survey data of 748 drug users to verify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FACIT-Sp, and analyzed the spiritual well-being characteristics of Korean drug users. The 12 items FACIT-Sp-12 scale verification found that the spiritual well-being of Korean drug users is best explained by the FACIT-Sp-10 scale, which consists of three factors, 10 items. The results of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analysis of the FACIT-Sp-10 scale were statistically acceptable. Using FACIT-Sp-10 scale to analyze the spiritual well-being characteristics of Korean drug users, the results indicates that people who are older, high educated, married, and religious have a high level of spiritual well-being. And people with psychiatric diagnosis had low level of spiritual well-being.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논의
5. 결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