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심기본간호술 평가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전문직 자아개념, 핵심기본간호술 수행자신감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Core Fundamental Nursing Skill Assessment Program on Self Efficacy, Professional Self Concept, Confidence in Performing Fundamental Nursing Skills of Nursing Students
- 한국자료분석학회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 Vol.21 No.4
- : KCI등재
- 2019.08
- 2163 - 2177 (15 pages)
본 연구는 간호학과 4학년 대학생을 대상으로 핵심기본간호술 평가프로그램이 자기효능감, 전문직 자아개념, 핵심기본간호술 수행자신감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단일군 전후설계 연구이다. U시의 C대학 간호학과 4학년 293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핵심기본간호술 평가프로그램은 한국간호교육평가원이 제시한 20개의 핵심기본간호술 항목 중 14개의 항목을 포함하였다. 프로그램에 참여한 후 대상자의 자기효능감은 사전 3.71±.57에서 3.84±.59로 증가하였고(t=4.97, p<.001), 전문직 자아개념은 사전 3.54±.43에서 3.60±.47로 증가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3.09, p=.003). 대상자의 핵심기본간호술기 수행자신감은 사전 3.53±.60에서 사후 4.08±.65로 증가되었고(t=16.21, p<.001), 평가프로그램에 포함된 14개 항목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전문직 자아개념을 확립하고 수행자신감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핵심기본간호술 학습경험이 반복될 수 있는 평가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하며, 각 교육현장에 적합한 형태로 수정·보완된 핵심기본간호술 평가프로그램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core basic nursing skill assessment program on self efficacy, professional self concept, confidence in performing fundamental nursing skills of nursing students. The study was a 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 A total of 293 nursing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Nursing skill assessment program consisted of 14 items among 20 core basic nursing skills presented by the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efficacy (t=4.97, p<.001), professional self concept (t=3.09, p=.003), and confidence in performing fundamental nursing skills scores of nursing students (t=16.21, p<.001). To improve self-efficacy, professional self concept, confidence in performing fundamental nursing skills of nursing students, a core basic nursing skill assessment program should be provided to them to experience iterative learning. A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effective educational strategies can confidently perform core basic nursing skills that are difficult to improve performance.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논의
5. 결론 및 제언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