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혁신 활동이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Technological Innovation on Corporate Value : Focused on the Effects of Corporate Characteristics and Market Concentration on R&D Investment
- 한국자료분석학회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 Vol.21 No.5
-
2019.102497 - 2509 (13 pages)
-
DOI : 10.37727/jkdas.2019.21.5.2497
- 이용수 134
초록
본 연구는 기업의 연구개발투자 및 연구개발투자와 시장집중도와의 결합작용이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이 기업의 재무적 특성과 비재무적 특성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지를 회귀분석 및 선형제약검증을 기반으로 분석한 것이다. 회귀분석결과에 의하면 연구개발투자는 기업가치에 유의적인 양(+)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는 기업의 연구개발투자와 같은 혁신활동이 기업의 가치를 제고하는데 기여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연구개발투자의 직접효과와 시장집중도를 통한 결합효과를 분리했을 때, 연구개발투자의 직접효과는 대기업, 고성장 기업, 고자유현금흐름 기업, 고외부자금의존도 기업, 저노동의존도 기업, 저최대주주 지분율 기업에서 더 크게 나타난다. 반면, 자본집약도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존재하지 않는다. 연구개발투자와 시장집중도의 결합작용은 대기업, 고성장 기업에서는 더 크게 기업가치에 영향을 주는 반면, 자유현금흐름, 외부자금의존도, 노동의존도, 자본집약도, 최대주주 지분율의 경우 유의적인 차이를 보여주지 않는다. 본 연구의 결과는 연구개발비의 직접효과는 기업 특성에 따라 차이가 크나, 시장집중도와의 결합효과는 기업특성에 따른 차이가 크지 않은 것으로 해석된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기업의 연구개발투자와 같은 자본적 지출 의사결정이 기업의 특성에 따라 달라져야 함을 의미한다.
This study is an analysis of the differences in the impact of R&D investment and interaction with market concentration on the corporate value according to the financial and nonfinancial characteristic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R&D investments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corporate value. Second, the direct effects of R&D investment is greater in large enterprises, high growth enterprises, high free cash flow enterprises, high dependence on external funds, low labor dependence enterprises and low shareholder equity enterprises. On the other hand,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equity intensity. Third, the interaction between R&D investment and market concentration has a greater impact on corporate value in large enterprises and high growth enterprises, while it does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free cash flows, dependence on outside funds, dependence on labor, concentration of capital and the equity ratio of the maximum shareholder.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direct effects of R&D investment vary widely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pany, while the combined effects with market concentration do not differ much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pany.
목차
1. 서론
2. 연구모형과 가설
3. 실증분석
4. 요약 및 결론
References
참고문헌 (0)
등록된 참고문헌 정보가 없습니다.
해당 권호 수록 논문 (42)
- 미디어자료 분할표 분석을 위한 정확추론
- 열병합발전을 위한 열수요 예측모델 개발
- A Study on the Efficiency of Stock Markets in China: Comparative Analysis among Three Exchanges
- 유상증자가 주가급락위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연관 규칙 평가를 위한 수정된 대칭적 균형화 J 측도의 활용
- 수량화 2법 분석을 통한 농업인 업무상 질병 연구
- 숫자 배열의 맥락단서효과가 사용자의 숫자 탐색 시간에 미치는 영향
- 서비스시간이 얼랑분포를 따르는 M/G/1 대기모형의 최적운영정책
- 굼뜬 인지적 템포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 대응 분석과 통계적 모형을 이용한 자연재해 피해액의 영향 요인 탐색에 관한 연구
- 병원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 회복탄력성 및 임파워먼트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가온가습호흡회로 적용이 복강경 담낭절제술 노인 환자의 체온과 전율 및 통증에 미치는 효과
- Test for Price Convergence across Provinces in China
- 개인의 정보 노출이 신고리 5·6호기 공론조사 결과존중에 미치는 영향
- 기술혁신 활동이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
- 요양병원 간호사의 노인돌봄태도 영향요인
- 투자자 유형에 따른 군집거래행태 및 상호 영향력 분석
- A Semi-parametric Approach to Estimate the Income Elasticity for a Car Fuel Price in Korea with Considering to Deal with Zero Expenditure
- Investors’ Sentiment, Arbitrage Constraints, and KOSPI Market Fear Index
- 휘발유 및 경유의 수요탄력성 추정에 관한 연구
- 다양한 구성요소 조합으로 만든 딥뉴럴넷 모델 성능 비교
- 성격장애에 대한 대안적 DSM-5 모델의 확인적 요인분석
- 가구단위 에너지 수요함수 추정에 관한 연구
- 글로벌 금융위기 전후 기대가설을 이용한 한국 채권시장에 대한 이자율 기간별 구조의 변화에 관한 분석
- The Generalizability of the Construct of Psychopathy between UK and Korea
- 회복마취간호사의 감성지능, 직무만족, 조직충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횡단면분석과 기술적분석을 이용한 거래규칙에 관한 연구
-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for Group Work and Intercultural Competency among Nursing Students
- 소비자보호를 위한 불완전판매 감소 방안
- Approximate Maximum Product Spacings Estimation for a Weibull Distribution under Progressive Censoring
- 연관성의 방향을 반영한 J 측도의 활용
- 군집화 기법을 활용한 산업집적분석 사례 연구
- 호텔의 전략지향성과 조직학습, 혁신, 지각된 경영성과간의 관계 연구
- 자사주매입과 증자의 결정요인에 대한 시계열 분석
- 지방자치단체 동물보호소의 유기·유실 반려견에 대한 입양확률예측모형
- 부문별 에너지소비와 경제성장
- 광주광역시, 호남지역 시군 성·연령별 인구이동 분석
- 노년층 세대 내 디지털 정보격차 분석
- A Study on the Multivariate Combined Control Chart
- 저축은행의 중소기업대출 집중이 재무건전성과 수익성에 미치는 효과
- 2단계 집락 다지 확률화응답모형
- 한국 노인의 만성질환과 악력의 관계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