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회복마취간호사의 감성지능, 직무만족, 조직충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Factors Affect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Perianesthesia Nurses in South Korea

DOI : 10.37727/jkdas.2019.21.5.2687
  • 275

본 연구는 회복마취간호사의 감성지능, 직무만족, 조직충성 정도를 파악하고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실시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지료는 S시 2개 상급종합병원의 회복마취 관련 부서에 6개월 이상 근무하면서 연구참여에 동의한 회복마취간호사 221명을 대상으로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조직몰입 정도는 직급이 높을수록, 근속연수가 15년 이상, 회복마취 근무경력 15년 이상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회복마취간호사의 조직몰입은 감성지능(r=.363, p<.001), 직무만족(r=.582 p<.001), 조직충성도(r=,781, p<.001)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났다. 회복마취간호사의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조직충성도(β=.640, p<.001), 직무만족(β=.259, p<.001), 회복마취근무경력 (β=.085, p=.040) 순으로 나타났으며, 조직몰입에서 이들 변수의 설명력은 총 65.5%였다. 본 연구를 기반으로 회복마취간호사의 조직몰입을 높이기 위해서는 조직충성도, 직무만족도 향상을 위한 방안으로 회복마취 전문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운영 및 이에 대한 보상방안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며, 또한 이들이 장기근무할 수 있는 다양한 전략 개발과 운영을 제언한다.

This study was done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loyalt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perianesthesia nurses in South Korea. Participants were 221 perianesthesia nurses at 2 university hospitals. Data were collected by a self-report questionnaire in 2016 and analyzed using SAS 9.4 window program. This result was significant different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general characteristics of nurse’s position is higher, clinical employment periods is longer, lots of perianesthesia career. Emotional intelligence,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loyalty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organizational commitment (r=.363, p <.001; r=.582, p <.001; r=.781, p <.001, respectively). The factors related to organizational commitment were job satisfaction (β= .259, p <.001), organizational loyalty (β= .640, p <.001) and peri-anesthesia career (β= .085, p =.040). Explanatory power was 65.5% in the regression model. Organizational loyalty was the most significant predictor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result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emotional intelligence program to improve the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loyalt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peri-anesthesia nurses. We also provided evidence for institutional policy to improve for development of education program of perianesthesia nurses in south Korea.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 결과

4. 논의

5.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