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 회복탄력성 및 임파워먼트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Job Stress, Resilience and Empowerment on Turnover Intention of Hospital Nurses
- 한국자료분석학회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 Vol.21 No.5
- : KCI등재
- 2019.10
- 2699 - 2712 (14 pages)
본 연구는 병원간호사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이직의도를 낮추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부산시 소재 5개의 200~500병상 이상 종합병원에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 166명으로, 2019년 1월 29일부터 2월 28일까지 자가 보고식 설문지를 통해 직무 스트레스, 회복탄력성, 임파워먼트, 이직의도를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을 이용하여 t-test, 상관관계분석 및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이직의도는 5점 만점에 평균 3.49±0.56점이었다. 이직의도는 부서이동 경험, 승진 경험, 이직 경험, 교육수준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직무 스트레스는 이직의도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r=.172, p<.05)를 보였으며 회복탄력성(r=-.254 p<.001)과 임파워먼트(r=-.241, p<.001)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부서이동 경험(β=.43, p=.001), 승진 경험(β=-.37, p=.001), 이직 경험(β=-.23, p=.001), 직무 스트레스(β=.19, p=.007), 회복탄력성((β=-.15, p=.031)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변인의 이직의도에 대한 설명력은 28.7%로 나타났다. 병원간호사의 이직의도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대상자의 요구와 적성을 고려한 적합한 부서이동과 적절한 승진체계, 직무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하여 알맞은 대우와 보상체계를 제공하고 회복탄력성 향상을 위하여 다각적인 노력이 요구된다고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factors influencing turnover intention of hospital nur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developing strategies to reduce the turnover intention and turnover rate of hospital nurses. Data collection was done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s with 166 hospital nurses in B city form January 29 to February 28, 2019.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via the SPSS/WIN 23.0 program. It was found that factors influencing the turnover intention of characteristics were as follows: job rotation experience (β=.427, p=.001), promotion experience (β=-.371, p=.001), turnover experience (β=-.227, p=.001), job stress (β=.188, p=.007) and resilience (β=-.150, p=.031). The explanatory power was 28.7%. In order to decrease the turnover intention of hospital nurses, various efforts are needed, including the suitable department transfer and a proper promotion. And in order to reduce job stress, diverse efforts are needed to provide proper treatment and compensation system and improve resilience.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논의
5. 결론 및 제언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