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1867.jpg
KCI등재 학술저널

화학테러·사고 우려물질에 대한 다중이용시설 예방을 위한 평가 연구

Evaluation study for prevention of multi-use facilities for chemical terrorism and accident concerns

  • 170

본 연구는 다중이용시설을 공격하는 화학테러·사고 우려물질에 대한 다중이용시설에 대한 대응방안과 건축물, 관련법, 독성영향범위를 바탕으로 대응방안을 제시하였다. 현대사회가 복잡하고 다원화되면서 테러리즘에 의한 피해규모가 더욱 커지고 테러 지역도 광범위하게 확산되고 있는데, 그 동안 한국은 테러로부터 다소 안전한 곳으로 생각하였던 것이 사실이었으나, 최근에는 경제성장으로 국제적 위상이 높아짐에 따라 세계평화에 일익을 담당코자하는 사명감과 미국과의 동맹관계유지를 위하여 분쟁중인 중동지역의 반테러 국가에 군(軍)을 파병하였다. 이를 빌미로 테러 단체로부터 해외 근로자가 공격을 받고 있는 것으로 보아 한국도 이제는 테러의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중이용시설 공간에 대한 테러발생시 신속한 현장대응을 할 수 있도록 CARIS를 활용한 통제구역설정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suggests countermeasures based on the countermeasures against multi-use facilities, buildings, related laws, and the range of toxic effects against chemical terrorism and accident-affecting substances attacking multi-use facilities. As the modern society becomes more complex and diversified, the damage caused by terrorism is increasing and the terrorist area is spreading widely. It was true that Korea was considered a safer place from terrorism. Therefore, in order to maintain a sense of mission to play a part in world peace and maintain an alliance with the United States, troops were sent to anti-terrorism countries in conflict in the Middle East. As a result, foreign workers are being attacked by terrorist groups, indicating that Korea is no longer a safe zone for terrorism. In order to promptly respond in case of terrorism to the multi-use facility space, a control zone setting using CARIS was proposed.

Ⅰ. 서론

Ⅱ. 연구내용 및 방법

Ⅲ. 다중이용시설 화학테러위협 및 개선방안

Ⅳ.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