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졸업학년 간호대학생의 호스피스 인식과 삶의 의미가 임종간호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enior Nursing Students Perception on Hospice and Meaning of Life on Attitudes toward Nursing Care of the Dying

DOI : 10.37727/jkdas.2020.22.2.895
  • 215

본 연구는 졸업학년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호스피스 인식, 삶의 의미, 임종간호태도 정도 및 그 관련성을 확인하고 임종간호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시도되었다. 부울경 지역 소재 3개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4학년 262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자료수집 기간은 2019년 9월 23일부터 11월 2일까지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목적에 따라 SPSS WIN ver. 25.0 프로그램을 활용해 서술통계, t-검정, 일원분산분석, Scheff&#233; 검정, Pearson 상관계수,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임종간호태도 정도의 차이는 성별(t=-2.22, p=.027), 전공만족도(F=14.42, p<.001), 학업성적(F=3.38, p=.036), 호스피스 교육 유무(t=2.59, p=.010), 호스피스 실습경험 유무(t=2.05, p=.042), 삶의 만족도(F=4.47, p=.004), 임종간호경험 유무(t=-2.83, p=.005)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임종간호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호스피스 인식(β=.43, p<.001)과 삶의 의미(β=.42, p<.001)로 확인되었고, 임종간호태도에 대한 이들 변인의 총 설명력은 52.4%로 나타났다. 따라서 졸업학년 간호대학생 임종간호태도의 긍정적 확립을 위해 호스피스 인식을 강화하고 삶의 의미 발견을 증진할 수 있는 호스피스 완화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며, 간호학부 정규 교육과정의 개선이 요구된다.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the level of perception on hospice, meaning of life, and attitudes toward nursing care of the dying (ATCOD) among senior nursing students, and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ATCOD. Data were collected from 262 senior nursing students at three nursing schools in Gyungnam province, using self-written questionnaires, and the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September to November, 2019.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Scheff&#233; test, Pearson 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ere used for data analysis using the SPSS WIN ver.25.0 program. The degree of ATCOD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t=-2.22, p=.027), major satisfaction (F=14.42, p<.001), academic achievement (F=3.38, p=.036), hospice education experience (t=2.59, p=.010), hospice practice experience (t=2.05, p=.042), life satisfaction (F=4.47, p=.004), and terminal care experience (t=-2.83, p=.005). The factors influencing ATCOD were perception on hospice (β=.43, p<.001) and meaning of life (β=.42, p<.001), and the total explanatory power of these variables was 52.4%. Therefore, active hospice education programs and curriculum are needed to enhance perception on hospice and meaning of life to positively establish the ATCOD of senior nursing students.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논의

5. 결론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