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1877.jpg
KCI등재 학술저널

국내·외 비화재보의 통계 및 관리체계에 관한 연구

Statistics and Management Systems of Unwanted Domestic and Foreign Fire Alarms

  • 183

화재 및 재난에서 신속·정확한 경보는 피해규모의 최소화와 인명 피난의 성공과 직결된다. 그러나 자동화재탐지설비의 비화재보로 인해 119서비스의 오인출동의 수가 증가하고 있다. 이는 건물의 관계인의 안전 불감증과 소방의인력낭비를 초래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외(미국, 영국) 및 국내의 비화재보에 대한 통계DB 및 문헌을 확인하고, 비화재보의 관리체계에 대해서 비교·분석하여 비화재보에 대한 통계 및 관리체계의 문제점을 확인하였다.

In the event of a fire and a disaster, prompt and accurate alarms inside and outside the building are directly related tothe minimization of damage and the success of life evacuation. However, due to unwanted fire alarms in automated firedetection systems, the number of dispatches by misunderstanding in the 119 service is increasing. This causes theinsensitivity to the safety of building managers and the waste of the fire-fighting power. Therefore, in this study, thestatistical databases and literature on unwanted fire alarms in Korea and abroad (USA, UK) were identified and themanagement systems for unwanted fire alarms were compared and analyzed to identify problems of statistics in themanagement systems for unwanted fire alarms.

1. 서 론

2. 국내·외 비화재보 연구 문헌 검토

3. 국내·외 비화재보 통계DB 관리현황

4. 비화재보 통계 및 관리체계의 문제점

5. 문제점에 대한 개선 방향

6. 결 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