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1770.jpg
KCI등재 학술저널

새로운 복합문화공간 유형으로서 자연융합형 공간의 개념 및 특성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Natural Convergence Space as a New Type of Complex Cultural Space: Based on the Theory of Space Production

  • 156

한국사회에서 마을, 거리, 시장공간은 단순히 삶을 영위하거나, 생업을 위한 공간으로 기능하였다. 하지만 최근 이 같은 공간은 공간스토리텔링, 장소마케팅 등의 공간 기법이 적용되어 새로운 복합문화공간으로 창출되고 있다. 이에 다양한 학문 영역에서 복합문화공간을 연구하고 있으나, 대부분의 연구에서 단순히 ‘시설물’로 규정하고 있어 최근 새롭게 창출되는 복합문화공간을 제대로 설명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공간을 자연융합형 공간으로 분석하였으며, 다중사례를 선정하여 르페브르의 공간생산이론을 통해 고찰하였다. 자연융합형 공간은 공간의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해 문화정책에 대한 관심으로부터 출발하였으며, 주민들은 관광공간으로서 인식의 전환을 통해 공간의 실천이 이루어졌다. 그리고 지역정체성을 발굴 또는 기존의 정체성을 강화하였으며, 다양한 콘텐츠의 융합을 통해 공간의 재현을 이루었다. 또한 공동체 의식 회복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였으며, 도시재생을 실천함으로써 재현의 공간으로 생산되는 과정을 나타내었다.

In Korean society, villages, streets, and market space simply served as a space for living or for living. Recently, space storytelling has been applied to create a new complex cultural space. However, the complex cultural space has been studied in various academic fields, but most of them are simply designated as ‘facilities’. In this study, we propose this space as a natural convergence space. And the multiple cases were analyzed through Lefevre ’s theory of space production. The natural convergence space started from the interest in cultural policy in order to promote the space, and the people practiced the space through the conversion of the recognition as the tourist space. And the identification of local identity or strengthened the existing identity, the convergence of various contents has achieved the representation of space. It also played a positive role in the restoration of community consciousness and showed the process of being produced as a representation space by practicing urban regeneration.

국문요약

1. 머리말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공간생산 이론을 통해 본 자연융합형 공간 분석

5.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