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시대의 주종을 이루는 미디어는 그 시대의 문화유형에 결정적 영향을 미치고 나아가 음악양식과 소통의 방식을 좌우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는 페이스북과 유튜브로 대표되는 소셜 미디어의 등장 이후 대중음악을 받아들이는 수용방식에 어떠한 변화가 있었는지 그 양상을 분석해 보았으며 그 결과 몇 가지 변화를 추출할 수 있었다. 첫째, 대중음악산업 전반에 ‘실검성’을 강조한 실시간 문화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는 점이다. 특히 한국의 경우 빨라진 네트워크와 소셜 미디어로 인해 개인의 참여와 교류가 더욱 활발해 지면서 음원사이트의 실시간 차트와 개인 인터넷 방송으로 대표되는 실시간 문화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둘째, 일회적인 음악의 공유와 빅데이터에 근거한 소셜 미디어의 음악추천 양상은 음악 선택의 기준을 바꿔놓았다. 세련되고 부르기 좋은 음악이라면 굳이 원곡이 아니더라도 충분히 인기를 누리게 되면서 커버음악이 큰 인기를 끌게 되었고 그 결과 원본과 복제본의 공존현상은 이전 시대에 비해 더욱 강화되었다. 셋째, 대중음악의 개인화 현상이 뚜렷히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일방적인 인기음악의 수용이 아니라 자신의 취향에 맞는 음악을 SNS를 통해 직접 공유하고 생산, 확산시킴으로써 음악으로 자신을 표현하고자 하였다. 또한 음악의 생산과 소비의 경계가 사라지고 쌍방향 소통의 문화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Media that have become the mainstream in an era tend to influence the types of culture of that time crucially and also determine the styles of music as well as the modes of communication, too. In this perspective, this study has analyzed how the aspects of accepting popular music have been changed after the emergence of social media such as Facebook and YouTube, and as a result, this author has extracted several changes from it. First, in the industry of popular music entirely, we can find real-time culture stressing ‘immediacy’ noticeably. Particularly in Korea, along with the emergence of speedier networks and social media, individuals have tended to participate and exchange more actively, and real-time culture represented by the real-time charts of websites providing sound sources as well as individuals’ online broadcasting is distinctly found. Second, in fact, the aspects of social media recommending music based on big data and also one-off music sharing have altered the criteria of selecting music. As music that is sophisticated and good to be sung grows popular enough though it is not the original, cover music has become excessively popular. As a result, the phenomenon that the original coexists with the copy has become even more obvious than in any other time. Third, we can now see the individualization of popular music as a distinctive phenomenon. As people share, produce, and spread music they like in person on SNSs (Social Network Services) instead of accepting popular music unconditionally, they try to express themselves with music. There is no border between the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music. Moreover, the culture of two-way communication is distinctly found nowadays.
국문요약
1. 머리말
2. 소셜 미디어에 따른 대중음악의 변화
3. 실시간 음원차트와 인터넷 방송
4. 창작에 대한 가치변화와 커버음악
5. 동영상 콘텐츠와 음악의 개인화 현상
6.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