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1781.jpg
KCI등재 학술저널

한국문학 속 가리봉동 읽기

Reading Garibongdong in Korean Literature

  • 96

본 논문은 우리나라 산업화의 중심지라 할 수 있는 가리봉동이 한국문학 속에 어떤 모습으로 나타나 있는지를 살펴보는 글이다. 1960~70년대 우리나라 산업화의 주축이 되었던 곳인 가리봉동 지역과 그곳에서 살았던 젊은이들의 모습과 그들의 생활상이 한국문학 속에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지를 문학 속에 나타난 시간의 흐름에 따라 분석하였다. 가리봉동이 많은 산업단지들 가운데 유독 여러 소설 속에 자주 등장하게 된 것은 가리봉동이 우리나라의 중심부인 수도 서울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다른 산업단지들에 비해 자주, 그리고 자세하게 소설 속에 등장하게 되었다. 이곳의 중심인물이라고 할 수 있는 이른바 ‘공순이’들이 가리봉동의 몇 십 년을 차지한다. 1990년대에 접어들면서 산업형태의 변화로 인해 많은 공단들은 디지털단지로 바뀌게 된다. 그로 인해 이곳 가리봉동 쪽방(벌집)에 머물렀던 여공들은 자신을 필요로 하는 곳을 찾아 이곳을 떠나게 된다. 그리고 그들이 떠난 자리에 중국동포들이 들어온다. 중국동포들 역시 소설들의 주인공으로, 혹은 주변인물로 등장한다. 이들을 등장인물로 그리고 있는 문학작품을 통해 당시의 시대상황과 인물들의 모습을 눈앞에 보듯이 그려낼 수 있다. 이를 통해 한 시대의 큰 그림과 동시에 자세한 그림을 그릴 수 있게 될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how Garibongdong, the center of Korea’s industrialization, is presented in Korean literature. We analyze in chronological order how Korean literature is describing the area of Garibongdong that was the pivot of Korea’s industrialization in the 1960-70s, the shape of the young people who lived there, and their way of life. The reason why Garibongdong of all the industrial complexes appears particularly often in various novels is that it is located in Seoul, the capital and center of Korea. The main characters of this place, so-called Gongsunis (“factory girls”), occupied Garibongdong for decades. Entering the 1990s, the change in the form of industry caused many industrial complexes to turn into digital complexes. In result, the factory girls left Garibongdong‘s slice rooms to find places where they were needed. Subsequently, Korean Chinese took their place. They also appear in novels as main characters or extras. Through the literary works portraying them as characters, we can picture the situation of the period and the people who lived at that time. Accordingly, we can describe the given period both in a broad view and in detail.

국문요약

1. 머리말

2. 가리봉동의 상징성

3. 쪽방(벌집)과 여공

4. 쪽방(벌집)촌의 새 주인 중국동포

5.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