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1783.jpg
KCI등재 학술저널

박물관 관람지속을 위한 위치적 의미에 따른 공간구성요인

A Study on the Spacial Construction Factors by Positional Meaning for Continuous Experiences in the Museum

  • 242

본 연구는 박물관 관람 경험의 지속을 유지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박물관 공간구성요인을 찾기 위한 방법론 제시와 구체적인 구성요인의 제시에 있다. 이를 위하여 본타(J. P. Bonta)의 위치적 의미와 스테판 비트굿(Stephen Bitgood)의 이익과 비용모델을 활용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관람지속요소와 관련한 연구의 틀을 구성하였다. 구성된 틀에 맞추어 기존 이론 및 연구 검토를 통하여 위치적 의미를 구성하는 속성인 시각관계, 접근관계, 소속관계별로 구분된 관람지속요소를 추출하였는데 우선 시각관계의 경우 시각적 호기심과 시각적 몰입감, 접근관계의 경우 접근예측성 및 접근 지속성, 소속관계의 경우 소속적 타당성 및 소속적 일체감이다. 이를 토대로 8개 박물관에 대한 사례조사를 실시하였다. 8개 사례는 순환형이면서 중심공간이 존재하는 911메모리얼박물관과 미국 홀로코스트 메모리얼 박물관, 순환형이나 중심공간이 존재하지 않는 더 브로드와 포트워스 현대 미술관, 선택형이며 중심공간이 존재하는 워싱턴 내셔널 갤러리 서관과 샌프란시스코 현대미술관, 선택형이나 중심공간이 존재하지 않는 로열 온타리오 박물관과 킴벨 미술관이다. 사례조사결과를 토대로 박물관 경험지속을 위한 공간구성요인을 건물외관 및 외부공간, 내부공간, 개별전시물에서 발생하는 시각적 호기심, 전시주제와 공간, 전시주제와 전시물, 공간과 전시물간에 형성되는 시각적 몰입감, 전체 동선의 암시 및 전체 동선의 기준이 되는 공간 유무에 따른 접근예측성, 동선 선택의 자율성 및 접근 흥미와 관련되는 접근 지속성, 장소성 및 주제의 일치에 따라 형성되는 소속적 타당성, 관람객과 공간, 관람객과 전시주제, 관람객과 관람객 자신 간에 이루어지는 소속적 일체감별로 제시하였다. 제안된 공간구성요인은 추후 박물관 디자인 및 분석에 있어 지침으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고려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spacial constructions factors for continuous experience in the museum. In the pursuit of this purpose this study used’s positiional meaning of J. P. Bonta and Benefit and Cost Model of Stephen Bitgood. And I used these theories for make a research framework. In sequence continuous experience factors which are separated by positional meaning(visual relationship, access relationship, belongingness relationship) are extracted. First, continuous experience factors which are related with visual relationship are visual curiosity and visual immersion, Secondly, continuous experience factors which are involved in access relationship are access prediction and access durability. Thirdly, continuous experience factors which are associated with belongingness relationship are validity of belongingness and friendliness of belongingness. In the next step this paper examined 8th museums for case study. Finally, the study suggested spacial constructions factors for continuous experience in the museum. I hope they are used with guidelines of museum design,

국문요약

1. 머리말

2. 연구 방법 틀의 구성

3. 위치적 의미에 따른 이익, 비용요소 분류

4. 사례조사 및 분석

5. 박물관 경험지속을 위한 공간구성요인 제안

6.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