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적으로 작품성과 대중성을 모두 인정받은 애니메이션 <겨울왕국>은 한국에서도 1,000만 관객이라는 높은 기록을 달성하였다. 한국의 이런 기록은 높은 흥행으로만 판단할 수 없는 중대한 지표를 남겼다. 하나는 한국의 애니메이션 시장을 뛰어넘은 흥행이라는 점이고, 다른 하나는 <겨울왕국>이 타 디즈니 시리즈와 비교해 2배가량의 상업적 성공을 거둔 반면, 한국에서는 10배 가까운 성공을 거두었다는 점 등이다. 본 연구는 <겨울왕국>이 유독 한국에서 폭발적인 흥행을 이룰 수 있었던 흥행요소가 무엇인지와 관련한 한국의 특수성을 파악하는 것이 목적이다. 전통적으로 가족의 소중함을 미덕으로 여기는 한국인에게 <겨울왕국>의 가족애는 매우 친숙하면서도 적절한 주제였다. 가부장체계의 가족, 공동체 가족, 나홀로 가족 등 <겨울왕국>에서 구체화된 가족의 모습은 현대 가족과 사회의 모습이 반영되어 있었다. <겨울왕국>의 가족은 이상적인 형태는 아니지만 사랑과 배려를 통해 가족 문제에 대한 나름의 해법을 제시하고 있었다. 가족에 대한 특별한 애착을 갖고 있으며, 가족 해체의 위기의식을 느끼던 한국 관객은 <겨울왕국>에 나타난 다양한 가족의 모습에서 자기 자신, 혹은 가족을 떠올리며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었다. 이러한 문화적 요소가 텍스트 외적인 측면에서 작동하여 한국에서의 놀라운 흥행을 견인하였다고 볼 수 있다.
The Animation <Frozen> which was highly acclaimed for both its cinematic quality and its popularity worldwidely achieved a high record of 10 million audiences in South Korea. Such recording in South Korea left significant indicators. For one thing, 10 million audiences was a huge box office hit surpassed the Korea animation market. And for another thing, <Frozen> made almost 10 times as much money as other Disney animations in South Korea, compared to doubled in worldwide. This study aims to grasp the distinctiveness of the South Korea concerned with successful factors to help <Frozen> enjoy such an explosive box office hit especially in South Korea. The family affection found in <Frozen> was the very much familiar and proper topic to Koreans who value the preciousness of a family as a virtue traditionally. Embodied images of families in <Frozen> such as patriarchal families, community families, single families and others were reflecting images of modern families and societies. <Frozen> have presented a decent solution about family problems by suggesting not ideal family forms but family forms based on love and solicitude. Korean audiences who have special affections towards families while feeling consciousness of crisis about family disorganization formed a bond of sympathy as associating various family images appeared in <Frozen> with themselves or their families. As far as this study understands, such cultural factor was what had worked from an external aspect of text which led to an amazing box office success in South Korea.
국문요약
1. 머리말
2. <겨울왕국>의 흥행 요인
3. <겨울왕국>에 드러난 가족
4.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