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1786.jpg
KCI등재 학술저널

국가 이미지와 한류 소비 요인간의 관계 분석

Korea’s Image and Consumption Factors of Hallyu Comparison of China, Thailand, Philippines, and Vietnam

  • 117

이 연구는 한국의 국가 이미지와 한류소비 요인 간의 관계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아시아에서 한류소비의 원인으로 많이 논의되었던 문화적 근접성에 대해 중국, 태국, 필리핀, 베트남 4개국의 인터넷 조사를 바탕으로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중국과 베트남에서는 한국 TV프로그램 시청요인으로 문화적 근접성이 두드러지게 나타나지 않은 반면, 필리핀과 태국에서는 문화적 근접성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이는 한류의 성공요인으로 항상 제시되었던 유교문화적 근접성이 설명력을 잃고 있음을 보여준다. 태국과 필리핀 응답자들이 한국 TV프로그램에 대해 느끼는 높은 문화적 근접성은, 최근 한류의 주된 소비요인이 경제성장으로 인한 ‘근대성’과 서구문화와의 ‘혼종성’이라는 점을 시사한다. 이 연구는 또한 한국의 국가 이미지가 한국 TV 프로그램 소비 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순서 로지스틱회귀분석법(ordered logistic regression)을 통해 파악하였다. 그 결과 한국에 대한 경제적 국가 이미지가 강한 집단에서 문화적 근접성이 강하게 나타났다. 또한 한국의 경제적 이미지와 문화적 이미지간의 상관관계도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한국에 대한 경제적 동경이 한류 문화에 대한 동경과 한류소비로 연결되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review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ational image of Korea and consumption factors of Hallyu. In doing so, the study conducted on-line surveys in four Asian countries-China, Thailand, Philippines, and Vietnam, focusing on the cultural proximity among Korea and the four countries. Chinese and Vietnamese respondents show less cultural proximity in consuming Korean TV programs than that of Thailand and Philippines. This result means that, the cultural proximity based on the Confucianism, which has been frequently suggested as a key factor for the success of Hallyu, has lost its explanatory power. On the contrary, the high level of cultural proximity of Thai and Filipino implies that the main factors for consuming Korean TV programs are ‘modernity’ based on economic development and cultural ‘hybridity.’ The research has also conducted an ordered logistic regression to test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s image and consumption factors of Hallyu. The results of ordered logistic regression show that, those who understand Korea as economically developed country are more likely to feel cultural proximity with Korean TV programs. In addition, the results show high correlation between national economic image and cultural proximity. This means that the aspiration toward economic development which Korea has shown, leads to acceptance of Korean culture and active consumption of Hallyu.

국문요약

1. 머리말

2. 이전연구 검토

3. 연구방법

4. 국가별 한국에 대한 국가 이미지와 한류 소비 정도

5. 한국에 대한 국가 이미지의 한국 TV 프로그램 소비 요인에 대한 영향 분석

6.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