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리스토텔레스에 따르면, ‘정서적 배설’인 카타르시스야말로 극적인 스토리텔링의 전부이며 모든 이야기 속 사건들이 관객들의 마음속에서 반드시 성취해야하는 것이다. 본 논문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에서 논하고 있는 플롯과 성격을 토대로, 드니 빌뇌브가 연출한 영화 <그을린 사랑>을 분석하면서 이 영화가 어떻게 관객의 정서에 호소하는지 그 메커니즘을 분석했다. <그을린 사랑>은 『시학』의 비극의 플롯(비선형 플롯, 복합플롯)과 주인공의 기준(하마르티아, 파토스 등)을 충실히 따르면서 관객에게 두려움과 연민의 감정의 카타르시스를 불러일으키는데 성공하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이 작품의 스토리텔링에서만 보자면, 드니 빌뇌브는 아리스토텔레스가 사랑했던 <오이디푸스왕>의 작가 소포클레스의 충실한 제자라고 해도 과언은 아닐 것이다.
According to Aristotle, catharsis (which literally translates to “emotional purging”) is the whole point of dramatic storytelling, and it’s what every single story event is working to achieve in the audience. This study aims to analyze Denis Villeneuve’s <Incendies> on the basis of Aristotelian concept of Plot and Character in tragedy. Merging Jeanne and Simon’s present narrative and Nawal’s past narrative into one complete action, this film adopts non-linear plot and complex plot. Using pathos from character’s hamartia and two reversals combined with a discovery, Villeneuve is successful in arousing catharsis of pity and fear. In this respect, Villeneuve may be one of successors to Sophocles, the author of <Oedipus Rex> that was Aristotle’s most favorite play.
국문요약
1. 머리말
2. 비선형 플롯-복합플롯
3. 하마르티아-파토스
4.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