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세기로 접어들면서 맞이한 변화 중 하나는 문화산업 발전과 더불어 지역문화가 지닌 다양한 가치를 소중하게 여기고 체계적으로 관리하게 되었다는 점이다. 그 대표적인 것이 유네스코의 지역문화 자원 등재작업이며, 보존과 개발이라는 측면에서 이러한 시도는 ‘지역문화’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하고 정신적 가치를 더 높인다. 본 논문은 이러한 시점에 ‘진주 지역 문화콘텐츠’의 다양한 가치들 중 정신적 가치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개발 방안을 고찰할 것이다. 나아가 문화콘텐츠 개발이라는 측면에서 ‘진주정신’이 지역에서 어떤 관계 속에 발전하면서 독자성을 확보해 왔는지도 파악하였다. 지리적 특수성, 지역 내 사회적 관계, 역사적 사건 등을 기준으로 분류하는 과정에서 발견한 것은 비록 이지역이 “연고주의 특성이 강하고 지역적인 연대가 강한 편”이지만 문화게이트웨이 기능을 수반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기능은 ‘대동적 호국정신, 휴머니즘적 평등정신, 예술적 장인정신의 결집체’등을 통해 ‘진주정신’의 요체를 구성한다. 이렇게 다각도로 전승되어 온 진주의 정신적 자산은 지역문화의 가치를 높이고 경제발전을 위한 활용 수단으로도 가치가 있다. 지역문화를 콘텐츠화 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는 지나친 물질적 가치 우선의 부가가치 창출이 정신적 가치를 소홀히 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현상은 정신적 가치가 지닌 공공적 가치의 다양성을 훼손할 수 있으며 다양화와 다문화 시대로 접어 든 현대에 더 심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것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지역문화의 근간이 되는 ‘지역정신’ 조명이 필요하다. 그래서 본 연구는 지역문화가 지니고 있는 스토리텔링 요소를 활용하여 “문화의 자발적 발전”을 위한 “기반조성”방법을 제언했다. 더불어 지속적인 실천을 위해 문화거버넌스를 통한 선순환적 문화생태계 구축 필요성도 검토했다.
This thesis aims to examine the local cultural contents of ‘cultures in the Jinju region’ with a focus on their spiritual values and to propose a means of utilizing them. Moreover, it assessed how ‘Jinju spirits’ have secured their unique characteristics in the course of advancement through their type of relationships with the cultures of other region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development of cultural contents. What was discovered in the process of categorization on the basis of the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social relationship within the region, and historical events, etc. One of the problems that can arise in the process of converting local culture into contents is the negligence of spiritual values due to the generation of added value by putting an excessive priority on materialistic value. Such phenomenon can damage the diversity of public values of the spiritual value, and is becoming further aggravated in the current era of diversification and multiculturalism. It is necessary to highlight the ‘local spirits’ that form the foundation of local culture in order to minimize such problems.
국문요약
1. 머리말
2. 지역문화콘텐츠 가치로서의 ‘진주정신’
3. 지역문화콘텐츠 원천소스로서의 컨버전스 예술사 실태
4. 문화적 가치 측면에서의 문화콘텐츠 활용 방안 제언
5.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