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형문화재와 인류무형문화유산 보호제도의 상생과 공존 방안
A Measure for Mutual Benefit and Co - existence between UNESC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Safeguarding System and Korea’s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Safeguarding System - Focused on Arirang, Kimjang Culture, and Nongak -
-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 글로벌문화콘텐츠
- 제23호
- : KCI등재
- 2016.05
- 195 - 215 (21 pages)
이 글은 한국의 무형문화재 가운데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목록에 등재된 아리랑, 김장문화, 농악을 중심으로 무형문화재와 인류무형문화유산 보호제도의 지향성을 연구하여 상생과 공존 방안을 제시한다. 2015년 3월 4일 「무형문화재 보전 및 진흥에 관한 법률」이 제정ㆍ공포되기 전까지 무형문화재 보호제도는 지정무형문화재의 원형유지와 보유자 중심의 무형문화재 전수체계를 유지해 왔다. 그러나 2003년 10월 17일 유네스코가 채택한 『무형문화유산 보호 협약』에 명시된 세대 간 전승되는 무형문화유산은 공동체 및 집단이 환경에 대응하고, 자연 및 역사와 상호작용하면서 끊임없이 재창조되고, 이들이 정체성 및 계속성을 갖도록 함으로써 문화적 다양성과 인류의 창조성에 대한 존중을 증진한다. 유네스코의 인류무형문화유산 보호제도는 구체적인 표현물을 생산하기보다 무형문화유산을 다음 세대에 전할 수 있도록 세대 간에 연행과 전수를 보장하고 증진하기 위해 전승력(viability)을 중시한다. 결론적으로 「무형문화재 보전 및 진흥에 관한 법률」과 『무형문화유산 보호 협약』이 상생과 공존을 위해서는 무형문화재의 전형(典型)유지와 전승 공동체의 전승력을 중심으로 세대 간에 연행과 전수를 보장하고 증진할 수 있도록 무형문화재 보호제도를 정비해야 한다.
This article tries to propose a measure for mutual benefit and co-existence between Korea’s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Safeguarding System and UNESC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Safeguarding System through studying the orientations focused on Arirang, Kimjang Culture, and Nongak, which were inscribed as UNESCO Representative List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among the Korean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Korea’s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Safeguarding System, before the Law of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Preservation and Promotion established and proclaimed on 4th March 2015, has been maintained the typical maintenance of the designated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and the transmission system focused on its holder. However,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which has been transmitted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specified in the Convention for the Safeguarding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established by the UNESCO on 17th October 2003, which is responded by communities and groups into their environment, constantly recreated by interacting the nature and the history, by enabling them to have their identity and continuity promotes the respect of cultural diversity and human creativity. The Safeguarding System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established by the UNESCO consider the viability in order to ensure and promote performance and transmission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to take over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e next generation than to produce concrete expressions. In conclusion, for mutual benefit and co-existence between Law of Preservation and Promotion for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and Convention for the Safeguarding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e Government of Korea should have to modify the safeguarding system of the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in order to ensure and promote performance and transmission focused on ‘the principle of typical maintenance’ and ‘the viability of a community’.
국문요약
1. 머리말
2. 무형문화재와 인류무형문화유산 보호제도의 지향성
3. 무형문화재의 전형유지와 인류무형문화유산의 창조활동
4. 아리랑, 김장문화, 농악의 지속가능한 발전과 공유 전략
5.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