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1787.jpg
KCI등재 학술저널

인문학 현상과 인문학 진흥정책 (2007~2014)

Phenomenon of humanities and Humanities promotion policy in Korea (2007~2014)

  • 48

본 연구는 정부가 2007년과 2014년에 발표한 인문학 진흥정책과 그 시기의 인문학 현상을 비교함으로써 정부의 정책이 현실의 인문학 현상과 어떻게 조응하고 있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2007년의 <인문학 진흥 기본계획>은 “미래한국의 문화자본 확보, 국가경쟁력 강화”를 궁극적 목표로 제시하고 있다. 인문학 활성화를 통해 문화자본을 축적하겠다는 것이었다. 이에 반해 당시 인문학적 대안을 이끌던 새로운 경향은 실천인문학이라는 이름으로 불렸다. 이는 인문학이 강단을 벗어나 시민의 삶에 관심을 가지고 사회에 참여하기 시작했음을 보여준다. 여기서 우리는 정책과 인문학계의 반응 사이에 괴리가 있음을 볼 수 있다. 2007년과 2014년 사이의 사회적 변화는 기업의 인문학에 대한 관심 그리고 인문학 베스트셀러와 인문학 강좌의 확산으로 요약할 수 있다. 이런 현상은 2014년 발표된 <인문정신문화 진흥을 위한 7대 중점 과제>에 잘 반영된다. 이 정책에서는 2007년 계획에 비해 연구와 교육부분은 축소된 반면 인문정신문화의 확산 부분은 확대되어 있다. 2007년부터 2014년까지 정부의 인문학 진흥정책은 대중을 위한 인문학의 활용과 확산, 기본 교양과 문화자본으로서의 인문학이라는 방향으로 비교적 일관되게 추진되어 왔다. 이러한 방향성은 2000년대 초반 사회적 필요에 의해 생겨났던 실천적 인문학이 어떻게 2010년대 들어 대중의 교양을 위한 인문학으로 변화하였는지 부분적으로 설명해준다. 정부의 인문학 진흥 정책 자체에 대해서는 긍정과 비판의 시각이 공존한다. 그러나 인문학의 활용과 문화자본화라는 정책의 방향성이 인문학의 위기라는 출발점의 질문에 대한 진정한 해결책인지 아니면 쟁점을 피해감으로써 질문 자체를 묻어버린 것은 아닌지, 인문학의 열풍이 확산되는 이 시점에서 고민해보아야 할 것으로 보인다.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how the Korean government policy interacts with the real-world humanities by comparing the humanities promotion policy of the Korean government and the phenomenon of humanities from 2007 and 2014. The goal of “Basic Plan for Humanities Promotion” in 2007 was “to secure the Korean cultural capital for the future and to strengthen the national competitiveness”. On the contrary, the rising tendency at the time was ‘alternative humanities’ -namely, practical humanities. It shows that humanities in 2007 tried to escape from the campus to concerns about civil life and engagement with society. Therefore, we can observe a slight gap between the government policy and the response from the academic world of humanities in Korea. The social change between 2007 and 2014 can be summarized as increasing corporate interest in humanities and the growth of humanities lectures and books. The “7 Major Tasks for The Promotion of the Spiritual Culture of Humanities” in 2014 reflects these phenomena as research and education were reduced, whereas the spiritual culture of humanities was expanded as compared with 2007. The humanities promotion policy of the Korean government from 2007 to 2014 has been consistently expanding humanities for the pubic and promoting humanities as basic culture and cultural capital. The direction of the policy explains how participatory humanities, which origniated from the social needs in the early 2000s, became public humanities or popular humanities. There are positive and negative perspectives on the government’s promotion policy. However, this direction is not a solution for the initial question of confronting the crisis of humanities. And it is still difficult to find the government’s policy-based response to this matter and some critics from the academic world of humanities have claimed that the government has been ignoring the question itself by skirting the issue so far.

국문요약

1. 머리말 : 위기와 열풍 사이의 정책

2. 2007년의 사회적 맥락과 <인문학 진흥 기본계획>

3. 두 정책 사이의 사회적 변화

4. 2014년 <인문정신문화 진흥을 위한 7대 과제>와 대중인문학

5. 2016년 인문학 진흥법의 의미

6.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