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1789.jpg
KCI등재 학술저널

한류전략의 난점과 문화의 분기성 문제

Some Difficulty for the Strategy of Korean Wave and the Problem of Cultural Divergence

  • 33

본 논문은 한국, 중국, 일본 이렇게 동아시아 세 나라의 최근 문화콘텐츠 육성과정과 동향을 살펴봄으로써, 이들 국가들 간의 상호 정책적 유사성과 차이점 등을 비교해보고 궁극적으로 한류문화가 현재 맞고 있는 침체의 원인을 고찰해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문화의 핵심 요소는 다양성에 있기 때문에 문화산업을 이야기할 때도 제조산업을 통해 생산되는 공산품들의 경우와 달리 표준화를 지향하기보다는 다양성을 확보해줄 때 문화의 활력성도 유지되고, 따라서 문화상품의 경쟁력도 보장될 수 있다. 특히 ‘한류’라는 표현이 이웃국가들의 일부 층에서 거부감을 일으키는 현상과 관련해서 정부차원에서 지나치게 공격적인 마케팅을 하는 것보다 생산과정의 불합리한 제도적 장애물을 개선하는 등의 조력차원의 지원이 바람직하며, 문화적 교류, 확산, 접촉 등의 직접적 활동은 민간차원에 맡겨두는 것이 지속적 발전을 가능하게 할 것이라는 점을 이론적 가설을 통해서, 또한 실제 예시들을 통해서 보여주고자 한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causes of the current stagnation of the Korean Wave and its countermeasures by comparing our case to similar ones of neighboring countries. The key factor of culture is diversity unlike other products made by human, and the vitality of a culture can be maintained when its naturally-occurring feature is ensured. Therefore, it is inevitable to face with challenges in the cultural policies which a government involved in. Countries could only provide administrative and institutional guarantees so that a culture can be continued naturally. This is the way to preserve cultural diversity and to enable qualitative growth of a culture.

국문요약

1. 머리말

2. 한류의 성장추이

3. 아시아 국가들의 문화산업전략의 예

4. 문화의 분기성

5.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