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1790.jpg
KCI등재 학술저널

트랜스미디어 콘텐츠 유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ype of Transmedia Contents

  • 660

본고는 오늘날 빠르게 변화하는 미디어 환경에서 주목받고 있는 트랜스미디어 콘텐츠 관련 논의를 확대하기 위해 그 개념과 특징을 살펴보고, 64편의 사례를 3가지 범주(시기별, 사용자 경험별, 목적별)에 근거하여 유형화를 시도하였다. 트랜스미디어 콘텐츠를 시기별로 보면 OSMU 콘텐츠와 공존 유무에 따라 통합형과 독립형으로 나누어 볼 수 있으며, 사용자 경험 기준으로는 컨트롤과 콘텍스트를 축으로 소극적/가상 영역, 소극적/실재 영역, 적극적/가상 영역, 적극적/실재 영역 등 4개 영역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목적별 유형은 기획 초기부터 트랜스미디어 콘텐츠 제작 의도가 있었던 경우를 네이티브 트랜스미디어, 의도가 없었으나 점차 트랜스미디어 콘텐츠로 발전한 경우를 프랜차이즈 트랜스미디어, 그리고 홍보와 마케팅 수단으로 제작한 경우를 마케팅 트랜스미디어로 구분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가 향후 국내 트랜스미디어 콘텐츠 개발 및 사용자 연구에 활발히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In this paper, in order to expand the discussion related to the trans-media content that has been attracting attention in the rapidly changing media environment of today, to look at the concept and features three categories (time by the case of the 64 edition, the user another experience, based on the purpose-specific), it was attempted to typify. If we look at the contents focusing on periods, the transmedia contents are categorized into an integrated type and an independent type depending on their co-existence with OSMU and on a basis of user experience, the contents were divided into four domains, passive/fiction domain, passive/reality domain, active/fiction domain, active/reality domain using control and context criteria. Last but not least, in terms of grouping the contents on a basis of purpose depending on initial development intentions, the study first arranged the contents by these cases that they have early development intentions, that they have not such intentions as well as that they are used for promotion and in the end, the contents were categorized into native transmedia contents, franchise transmedia contents and marketing transmedia contents. It is considered that this study will be used for other profound researches on contents development, users and others.

국문요약

1. 머리말

2. 트랜스미디어 콘텐츠의 개념 및 이론적 배경

3. 트랜스미디어 콘텐츠 유형화

4.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