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1797.jpg
KCI등재 학술저널

으젠느 앗제(Eugène Atget)와 진화하는도큐먼트

Eugène Atget and His Evolving Document: The Two Perspective on Atget’s Photo-works

  • 96

사진의 발전사에서 19세기와 20세기는, 각각 시작과 성숙에 해당하는 시기로서 그 의미를 갖는다. 으젠느 앗제(Eugène Atget)는 그 두 시기에 걸쳐 활동하였던 사진가로, 사진사(寫眞史)의 발전적 전개과정을상징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즉, 상업적 도큐먼트 사진에서 작가의 주관이 적극적으로 개입하는 창조적 사진으로의 발전 양상이, 앗제의 사진들을 통해서 확인되는 것이다. 따라서 사진의 발전사는 앗제를 전후로하여 구분될 수 있으며, 그러한 만큼 사진가로서의 앗제와 그의 작품들 은 그 사진사적인 의미를 충분히 인정받아야 한다. 그러나 작가와 작품에 대한 이해의 노력 없이, 비판 그 자체를 목적하거나 미술사(美術史)적 맥락만을 쫓는 주장들로 인해 앗제에 대한 정당한 평가에 상당한 장애가 나타나고 있다. 특히 크라우스(Rosalind Krauss)를 정점으로 하여나타난 주장들이 만들고 있는 부정적 담론의 형태는 앗제에 대한 사진사적 측면의 평가는 물론이고 그의 작품들에 대한 대중적 접근의 기회조차 막고 있다. 이러한 이유에서 이 글은 앗제와 관련한 연구들 중, 작가에 대한 면밀한 탐구로써 그 권위를 충분히 인정받고 있는 모리스(Maria Morris)와 네스빗(Molly Nesbit)의 연구에 주목하고자 한다. 이들의 고찰을 통해서 상업적 도큐먼트로서의 앗제의 사진들이 예술적가치를 획득하는 과정이 확인될 것이고, 따라서 앗제와 관련된 부정확한 평가의 주장들 또한 재고될 것이다.

‘Glocal’ is a compound of the ‘global’ and the ‘local’. It means that navigate with the global and regional. And ‘glocal cultural contents’ is a compound of the ‘glocal’ and the ‘cultural contents’. it means that cultural contents has glocality. Export of cultural contents and the export of manufactured goods have different positions. When exporting manufactured goods abroad is mostly localization. However, cultural contents localization is not easy. Because cultural contents reflect the culture of a particular area. Therefore, when exporting cultural contents we should be considered to the culture of the export area . This feature is particular emphasis in cultural contents planning. Planning is in progress prior to cultural contents development process. Through this process, we reduce the risk of failure cultural contents, and its profitability can be increased. Therefore, cultural contents planning process can be called that select the direction of the development. This research project focused on the particular view of the ‘world(campaign setting)’. World of cultural contents is an element that sets the temporal, spatial, natural, ideological background.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the world of <Transformers> series and <Pokemon> series analysis by using ‘archetype theory’. These analyzes reveal ‘universality’ and ‘particularity’ of glocal cultural contents.

국문요약

1. 머리말

2. 모리스의 시선: 작가의 서정성

3. 네스빗의 시선: 주체적 도큐먼트

4.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