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1798.jpg
KCI등재 학술저널

창의적 상상력과 이미지텔링의 관점에서 본 마그리트의 <폭포>

Magritte’s Waterfall Focused on the Creative Imagination and Image-telling

  • 45

마그리트의 <폭포>에는 폭포가 실재하지 않는다. 숲, 이중의 숲이 그려져 있을 뿐인데 화제(畵題)는 <폭포>다. 따라서 대개의 감상자는 이 그림의 제목을 접하는 순간, <이미지의 배반>이나 <이것은 파이프가 아니다>를 접했을 때와 마찬가지로 황당한 느낌을 갖게 될 것이다. 하지만 주지하듯이 마그리트는 이성의 농간자요 의미와 이미지의 파괴자다. 때문에 그의 작품에 다가서기 위해서는 일차적으로 시각에 의해 인식되고 지각된 것만이 존재하는 것의 전부라는 상식으로부터 벗어나야 한다. 특히 그는 말과 이미지의 일치에 대해 일종의 증오심을 표하기도 했던 작가다. 따라서 우리가 <폭포>에서 읽어내야 하는 시니피에는 시각성, 즉시성 이면에 장치되어 있다는 것을 간파해야만 그 실마리가 풀릴 수 있다. “폭포란 무엇인가?” 아주 원초적인 이 질문을 해소해보기 위해 우리는 들뢰즈의 <objet = x> 개념과 이미지텔링 원리를 원용해보았다. <objet = x>는 <폭포>에 대한 즉답을 유보해가면서 그 내면세계에 다가가기 위해서였고, 이미지텔링을 통해서는 <폭포>라는 ‘이미지’가 단지 감상이나 분석(해석)의 대상이 아니라 ‘감상자에게 이야기하는 주체’라는 점을 부각시켜보기 위해서였다. 이렇게 <폭포>와 대화를 주고받으면서 우리는 마치 자연-풍경화처럼 보이는 <폭포>에서 기실은 철학-풍경화라는 점을 밝힐 수 있었고, 숲이 폭포가 될 수도 있는 새로운 예술세계를 경험하게 되었다. 마그리트에 의해 그려진 이미지(image peinte)는 모두 철학적으로 반성된 이미지(image r&#233;fl&#233;chie)요 사유된 이미지(image pens&#233;e)라는 것을 새삼 확인한 셈이다.

In Magritte’s <The Waterfall>, no waterfall exists. Only a forest ― or double forests ― are painted. And yet the title of the painting is <The Waterfall>. Most viewers will feel perplexed when they see the title of this painting as they would do when they see <The Treachery of Images> or <This is not a pipe>. But it is now well-known that Magritte is the trickster of reason and the destroyer of meaning and image. Therefore, in order to approach his works we first need to escape from our common sense that only the things that are perceived by sight and recognized really exist. In fact, he even expressed a sort of hatred towards the correspondence between language and image. Thus, we can solve the puzzle of this painting only when we realize that the signifi&#233; that needs to be read in <The Waterfall> is placed beyond the visible and the immediate. In order to find an answer to the fundamental question of “What is a waterfall?”, Deleuze’s notion of <objet = x> and the principle of image-telling were utilized in this paper. The notion of <objet = x> was utilized so as to approach its inner world while postponing an immediate response to <The Waterfall>. Through the principle of image-telling, it was intended to highlight the fact that the image of <The Waterfall> is not just an object for appreciation and analysis (or interpretation) but an ‘agent which talks to the viewers’. By conversing with <The Waterfall> it was possible to reveal that <The Waterfall>, which looks like a nature-landscape painting, is in fact a philosophy-landscape painting, and also a new aesthetic world was experienced where a forest could be a waterfall. In sum, we could see once again that all the images (image peinte) by Magritte are philosophically reflected images (image r&#233;fl&#233;chie) and thought-through images (image pens&#233;e).

국문요약

1. 머리말

2. <폭포>: 자연적 자연과 인공적 자연을 넘나드는 창의적 상상력의 소산

3.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