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1798.jpg
KCI등재 학술저널

광역 런던의 역사문화콘텐츠 관련 정책 연구

Heritage, Urban Regeneration, and Cultural Policy: Focused on the London Plan and Great London Authority

  • 165

본 논문은 최근 관심을 끌고 있는 역사문화콘텐츠 개발에 관한 연구로서, 이 분야의 대표적인 도시로 일컬어지는 영국 런던의 사례를 살펴보았다. 특히 관련 정책인 ‘런던플랜’을 중심으로 그 취지와 실행과정의 맥락을 짚어보고, 구조를 분석했다. 이어서 함의 해석을 통해 성과와 시사점을 도출했다. 영국의 역사문화콘텐츠 개발은 크게 두 가지 딜레마를 해결하는 과정과 연관되어 있다. 첫째, 특히 2차 대전 시 공습에 의한 문화재 훼손을 경험한 이후 역사유물을 정책적 보존의 대상으로 인식해 온 점이다. 이는 개발정책과 본연적으로 상반되는 입장에 놓여 있다. 둘째, 오랜 기간 잉글랜드와 영국의 수도 역할을 하며 런던은 슬럼화, 노후화, 공공토지와 사유지 분포의 난맥, 도시 내부 권역별 빈부격차 등 극단적인 도시복잡성 문제를 안고 있다. 이는 도시 전체를 하나의 목표에 수렴하도록 재정비하고자 하는 정책적 시도를 사실상 불가능하게 만든다. 이를 해결해나가는 데는 정교한 계획뿐만 아니라 장기적인 비전, 시민 합의, ‘슬기로움’, ‘창의성’과 같은 계상되지 않는 요인들의 작용이 필수적이다. 본 논문은 영국의 사례를 이런 관점에서 접근하고 조명하고자 했다. 역사문화콘텐츠의 바람직한 개발은 거주자들의 삶의 질 향상과 도시 브랜드 가치 상승을 통한 시민의 자긍심 고취, 관광산업 등 관련 문화콘텐츠산업 육성을 통한 경제가치 제고 등의 의미와 효과가 있어 중요하다. 특히 브랜드가치 상승과 관련하여 본 논문은 글로컬시티 논의를 제기하여, 도시에 대한 평가가 과거와 같이 인구, 교통인프라 등 물리적 측정에서 벗어나 개방화, 다문화에 대한 배려 등으로 확산되고 있음에 주목하고, 역사문화콘텐츠 개발을 통해 얻고자하는 효과와 국제적 명성이 인간의 행복추구와 떨어질 수 없음을 주장하였다.

This study aims to scrutinize the relationship between, so called ‘historical-cultural contents(HCC)’ and cultural policy. HCC gains socio-political interests, for it is regarded as a primary factor of regional development in terms of urban regeneration, quality of life, and city brand value. However, it is quite difficult to accomplish this goal due to the significant complexities of the mega city London, which is suffer from ghettoism, deterioration of buildings, infringement of ownership issues of the land lords, gaps between the rich regions and the poor regions, and so on. What are needed here are not only well organized plans and policies, but intangible but effective values such as long term visions, civic concurrence, wisdom and creativity. Firstly, in this respect, the bureaucratic system of Great London and its London Plan in respect of HCC development is examined, which provide quite comprehensive and holistic approaches on the HCC issue. Secondly, the problems and solutions in the implementation process are demonstrated. Some examples and indirect citations of the official papers from the London government such as <A Thematic Research Strategy for the urban historic environment>, <Cultural Metropolis: The Mayor’s Draft Cultural Strategy> are also provided. Thirdly and lastly, as a conclusion, the concept of glocal-city in the city brand debate is scrutinized. It is highlighted that the expected value and impact of HCC development cannot be separated from its citizens.

국문요약

1. 머리말

2. 광역런던의 행정조직과 역사문화콘텐츠

3. 광역런던의 역사문화콘텐츠 개발

4. 도시브랜드가치와 글로컬시티(Glocal City)論

5. 시사점 및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