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다중복합지역에서의 물공급 현황을 고려한 일단위의 체계적인 분석이 가능한 물수지 모델을 개발하고, 모델의 활용성 평가 및 물수지 분석을 진행하는데 목적이 있다. 다중복합 물수지 모델은 기상자료 구축 및 유역평균값 산정, 강우-유출분석, 수혜면적 및 수요량 추정, 저수지 물수지 분석, 하천유역 물수지 분석의 5개 모듈을 활용하여 일단위 물수지를 파악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개발된 모델은 충남 서북부 8개 시·군을 대상지역으로 선정하여 물수지 모델의 활용성 평가 및 분석을 진행하였다. 관측자료와 모델분석결과를 활용하여 정확도를 평가한 결과, 대부분 정확도가 좋게 산정되어 활용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일단위 물수지 분석을 진행하여 하천유역의 잠재공급량, 공급량, 부족량, 잉여공급량과 부족일수를 분석하고, 수요량 대비 부족량 비율을 검토하여 가뭄 취약지역을 파악하였다. 향후 개발된 모델을 활용하여 물공급 취약지역을 조기에 파악하여 가뭄 대책 및 시설물 운영 방안 수립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water balance model capable of daily analysis of the water supply situation in a multi-composite area, evaluate the utility of the model, and conduct a water balance analysis. The multi-composite water balance model, which was developed to determine the daily water balance in an area, includes five modules: Weather data build and area mean data, Rainfall-runoff analysis, Benefit area and demand estimation, Reservoir water balance analysis, and River basin water balance analysis. The study selected eight cities in northwestern Chungcheongnam-do in Korea as target areas and evaluated the utility of the water balance model. Further, the study used observation and model simulation data for its analysis, which found a high degree of accuracy as well as correlation. In addition, daily water balance analysis was conducted to estimate the potential supply, demand, supply, shortage, surplus supply, and shortage days in the river basin, while the ratio of shortage to demand was also determined to identify areas vulnerable to drought. In the future, it will be possible to establish drought countermeasures and facility operation plans by identifying areas with water supply vulnerability using the developed model.
1. 서 론
2. 모델 이론 및 평가방법
3. 대상지역 선정 및 입력자료 구축
4. 모델 활용성 평가 및 물수지 분석 결과
5. 결 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