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0년 동해안 산불피해 이후, 삼척지역에서는 2019년에 산사태가 발생하면서 산불이 사면안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게 되었다. 이를 위해 토사 발생원에 조사구를 설정하여 산지미지형 특성, 산림구조 및 생육환경과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목본식생의 출현 종수와 개체밀도는 B plots가, 형상비는 A plots가 높게 나타났다. 특히, 붕괴가 발생한 A, B plots에서는 수목 간 경쟁으로 인해 산림의 방재기능이 효과적으로 발휘되는 형상비를 초과하였으므로, 산불 후 회복된 산림에서는 밀도관리가 중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즉, 이 연구결과는 대형산불, 집중호우, 산사태 등의 재해에 직면해 있는 강원 동해안 지역의 사면안정에 기여하는 수목의 뿌리점착력을 평가함으로써 토사재해방지를 위한 산지관리 사업을 제안하는 데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Close on the heels of the East Coast Forest Fires (ECFF) in April 2000, Samcheok in the region witnessed landslides in October 2019. Therefore, it is imperative to understand the association between forest fire and slope stability. Accordingly, survey plots were set up around the site of the landslide to investigate micro-topography, forest structure, and growth environment. The results revealed that B plots scored high on appearance and the density of trees, while A plots had high values on the H/D ratio. Further, it is important to control tree density in the restored forests because the H/D ratio, which induces slope stability, exceeds suitable values at both A and B plots, resulting in intense competition among the trees growing in the affected sites. The findings are useful for proposing a mountain management project to prevent sediment-related disasters. Moreover, they would aid in evaluating the root cohesion of trees contributing to slope stability on the east coast region of Gangwon-do, which is prone to disasters such as large-scale forest fires, heavy rains, and landslides.
1. 서 론
2. 2000년 동해안 산불피해
3. 2019년 집중호우에 의한 산사태
4. 연구방법
5. 결과 및 고찰
6. 결 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