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한국사회의 대인신뢰구조와 그 생산 메커니즘은 무엇인가?

The Pattern of Associational Life and the Dual System of Interpersonal Trust in South Korea

  • 53
커버이미지 없음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사회의 대인신뢰구조를 경험적으로 파악하고, 신뢰구조의 특성을 사회조직생활의 양태와 연결 지어 설명하는데 있다. 경험적 분석을 위해서 대진대학 사회자본 연구소가 실시한 <사회자본기초조사> 데이터를 사용하였으며,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Probit Model과 회귀분석을 중심적으로 사용하고 서술적 데이터 (Descriptive data: tabulation, 그래프 등)를 이용하여 이를 보완하였다. 한국인들의 대인신뢰구조를 정확히 가려내기 위해 종속변수를 ‘일반사람에 대한 신뢰’, ‘낯선 사람에 대한 신뢰’, 그리고 ‘사회신뢰’를 이용하여 다각적인 경험적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발견한 가장 중요한 사실은, 한국사회의 민주주의 제도가 아직도 안정화 되어 있지않기 때문에 개인들의 사회조직생활참여가 대인신뢰로 쉽게 전환되는 ‘사회화 현상’이 강하게 일어나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둘째는 한국인들은 내부집단과외부집단을 명확히 구분하여 신뢰하는 신뢰구조의 이중성이 발견된다. 신뢰의 이중성은 한국인들의 사회조직생활이 비공식성이 높고, 동종교배적 교제가 중심을 이루고, 조직활동의 목적이 협소한 사회참여가 중심을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 셋째는 사회조직활동 참여가 대인신뢰수준을 설명하지 못하는 것에 비해, ‘자발적 봉사’나 ‘사회기부’는 대인신뢰수준에 대한 강한 설명력을 보여 주었다. 마지막으로, 한국사회의 최상위 계급이 서구사회에서 목격되는 높은 대인신뢰수준을 보여주지 못해 일반예상을 빗나갔다. 하지만 한국사회도 교육이 높아질수록, 가계수입이 늘어날수록 대인신뢰가 높아가는 일반법칙에 근접해가고 있는 사회로 확인되었다.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grasp the nature of interpersonal trust embedded in Korean society and relate it to the pattern of associational life. This research utilized the Probit and Regression Models along with descriptive data, using the social capital data produced by the Social Capital Study Center at Daejin University in 2003. Unlike previous studies on interpersonal trust, this study employs three different categories of trust- generalized trust , trust in strangers , and social trust -to unravel the full picture of interpersonal trust in Korea. The significant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is not a strong statistical association between civic engagement and interpersonal trust, which implies that Korean democracy, falls short in terms of providing people with fertile soil in which more civic engagement is transferable to more trust toward people in general. Secondly, Koreans attitudes toward people change along the lines of in-groups and out-groups . Accordingly, a dual system of interpersonal trust exists among Koreans. Third, volunteer work and social contribution showed strong explanatory power on interpersonal trust, while civic engagement level and diversity level of civic engagement was negligible in its effect on trust. Lastly, the highest social class is less willing to trust other people, a phenomenon which deviates from what social capital students observed in Western democracies. Except for the highest class, however, Korea is observed to be on its way to becoming a society where the richer and better educated citizens are more likely to trust others.

Ⅰ. 머리말

Ⅱ. 기존연구의 대인신뢰와 관련한 주요 이슈들

Ⅲ. 경험적 분석

Ⅲ. 결론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