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1911.jpg
학술대회자료

‘정선아리랑제’의 보존 동력과 장애 요인 연구

  • 96

‘정선아리랑’은 강원도 무형문화재 1호로서 노래 가사 숫자가 1,500여 수로 가장 많고 보전이 잘 되어 있기에 아리랑의 으뜸으로 평가받는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전승·발전시키기 위해 1976년부터 실시 되어온 ‘정선아리랑제’의 경쟁력과 발전을 위한 개선 과제를 분석하였다. 문헌 조사, 전화 인터뷰를 통해 수집한 텍스트를 내용분석 기법을 적용해 축제 콘텐츠 자체 요인, 지역 문화예술인들의 활동과 노력, 지방자치단체의 지원 시스템, 지역주민과 관객의 참여도 등 4가지 범주로 설정해 그 결과를 추출·분석했다. 연구 결과 ‘정선아리랑제’ 의 보존 경쟁력은 문화재로서의 가치에 대한 참여자들의 평가, 정선아리랑 보존회와 예술인들의 헌신적인 노력, 지방자치단체의 지원, 전통문화와 지역주민의 화합 등으로 도출되었으며, 개선 과제로 지적된 문제점은 새로운 축제 콘텐츠의 부재, 지역 예술인들의 보수적 처신, 축제 행사장의 관리 미흡, 지역주민과의 소통 부족 등으로 나타났다. 결국 ‘정선아리랑제 ’의 발전을 위해서는 보존 경쟁력을 기반으로 전통 문화재의 희귀성과 소중함을 분명히 인식해 정선아리랑이 지닌 명성에 버금가도록 전통성, 지역성, 대중성, 소통성을 결합하는 것을 원칙으로 ‘정선아리랑제’의 프로그램을 재정비해야 한다.

1. 머리말

2. 축제의 가치와 유래, 변천 과정

3. 연구 방법과 절차

4. 전승·보존 동력과 발전의 장애 요소

5. 맺음말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