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학술대회자료
전주 ‘영화의거리’ 장소성이 영화문화에 미치는 영향 연구
간행물 정보
-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학술대회자료집
- 2019년 동계학술대회 자료집
-
2019.1259 - 63 (5 pages)
저자
- 이용수 144

초록
전주시는 팔달로와 대동길, 충경로 사이 전주 오거리 영화의 탑부터 전주영화제작소를 가로지르는 거리를 ‘영화의거리’로 명명했다. 이 지역은 전국 최대 극장 밀집지라는 장소적 특성과 1950년대 영화산업의 중심지였다는 역사성, 매년 5월에 열리는 전주국제영화제라는 축제가 결합되어 영화도시라는 이미지를 구축했다. 이후 영화관련기관들이 ‘영화의거리’로 이전하거나 건립되면서 영화만 관람하는 것이 아니라 영화비평과 시나리오교육, 영화제작이 이루어져 영화문화가 형성되었다.
목차
1. 머리말
2. 공유문화 : 영화상영
3. 비평문화 : 영화비평
4. 제작문화: 독립영화제작
5. 맺는말
참고문헌
참고문헌 (0)
등록된 참고문헌 정보가 없습니다.
해당 권호 수록 논문 (45)
- 스토리텔링 관점에서 본 지역 캐릭터
- 미디어 기기 활용 FIT 기반 관광 가이드 시스템
- 캐릭터를 통한 한류의 변화와 발전 가능성
- 브랜드 스토리텔링을 통한 지역 활성화 전략 연구
- 기술중심시대 한류의 지속가능성에 관한 소고
- 한류의 수익성 모델 연구
- 전주 ‘영화의거리’ 장소성이 영화문화에 미치는 영향 연구
- 한국 게임의 한글화 고찰
- 이슬람, 한류에 빠지다
- 아랍권을 대상으로 한 뉴미디어 플랫폼 기반의 한류 콘텐츠 수출 전망에 대한 제언
- 한류에 의한 베트남의 한국어 교육 확산에 관한 연구
- 한류 속의 전통예술 재인식
- 한류의 근원지 서울, 역사문화도시를 다시 생각하다.
- 개인방송에서 가학성이 시청자 관심도에 미치는 영향
- 한국 예능프로그램 포맷수출이 중국 방송시장에 미친 영향 분석
- 한류를 통한 아세안 관광정책 협력방안
- 조선족 문화원형 디지털아카이빙 보완작업의 필요성
- 오흐리드 호수에서 본 “사랑해서 미안해”
- 한·일 그림책 무생물 캐릭터 비교 연구
- 역사인물을 통한 창의콘텐츠 개발
- 한한령 이후 K-POP의 중국 현지화
- 문화민주주의적 관점에서의 문화예술공간 조성에 관한 연구
- 영화제와 청소년 영화교육
- 고객 경험 확장을 통한 아이돌 그룹의 스토리텔링 전략
- 예술인 창업지원 사례연구
- 한류로 인한 중국 내 한국 외래어의 영향 연구
- 키덜트 문화와 키덜트 컨셉의 축제 기획 연구
- 문화예술축제를 통한 장소성과 장소감의 인위적 조성
- 한국어교육에서의 한류 문화콘텐츠 활용 현황 및 과제
- 울릉도 호박엿과 산마늘(명이)로 살펴본 지역 특산품 분석
- 2010년대 이후 한국 원작 리메이크 영화의 문화 번역 연구
- K-Food의 대중화를 위한 앱개발 방안연구
- 인도영화 <바후발리-더 비기닝>에 드러난 힌두신화 원형
- K-tour의 개념 디자인을 통한 관광한류의 가능성과 방향모색
- 벽화마을의 도시재생 활성화 방안 연구
- 포스트식민 페미니즘으로 바라본 다큐멘터리 속 ‘양공주’의 젠더 이미지
- 브랜디드 콘텐츠 애드(Branded Content AD)의 성격
- 일본 한류의 지속적 확산을 위한 TV드라마 리메이크 활성화 방안 연구
- 글로벌육성축제의 한류화 전략 제언
- 박경리 문학공원의 활성화 방안
- K-pop의 현지화, 카자흐스탄의 Q-pop
- 일본 애니메이션 <강철의 연금술사> 스토리텔링 연구
- 기억 경합의 장으로서 우토로 도시 공간 읽기
- 디지털미디어 공간을 통한 한류콘텐츠 연구
- 강진군 역사문화콘텐츠를 활용한 지역관광 활성화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