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의 수용능력에 의한 제품정보탐색성향과 시간 압박에 따른 효과
The Effect of User Learning Capability and Information Sufficiency on Perceived Risk
- 한국외국어대학교 지식출판콘텐츠원 글로벌경영연구소
- 글로벌경영연구
- 제27권 제2호
-
2015.0857 - 86 (30 pages)
- 44

본 연구에서는 제품의 분류를 사용자의 수용능력이 전제되는 상품일 경우와 전제되지 않는 상품일 경우로 나누고, 사용자의 수용능력이 전제되지 않는 상품을 은행 학자금 상품과, 전제되는 상품을 교육상품으로 같은 무형의 제품을 선택하였고, 정보의 원천을 이러한 제품에 따라 기능위주의 기업제공 정보와, 주변인을 통한 정보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며, 정보의 양에 따라 위험 지각도와 주의, 구매의도에 어떠한 상간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았으며, 이 연구를 확장하여 사용자의 수용능력이 전제되는 상품을 가지고 시간의 제약이 있을 경우와 없을 경우, 정보의 원천(기업이 제공하는 정보와 주변인을 통한 정보)이 동조성과 정보처리 능력에 따라 주의와 구매의도에는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그 결과 사용자의 수용능력과 정보의 원천, 정보양에 따라 위험지각도와 주의, 구매의도에 상관관계가 있다고 나타났으며, 혹장된 연구에서는 인지욕구에 의한 결과 외에 모든 동조성, 주의, 구매의도에 상관관계가 있다고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소비자가 정보를 탐색할 경우, 자신이 필요한 정보를 찾기 위해 다양한 방법으로 정보탐색을 하기 때문에 기업은 정보를 제공할 경우 그 제품에 대한 다양하고 많은 정보를 제고해 주어야 하고, 또한 기업은 제품의 성향과 기능을 정확히 파악하고, 제품에 맞는 정보를 고객이 더 쉽게 접하고 느낄 수 있도록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연령대 별 동조성에 의한 제품일 경우 주변의 집단의 정보를 통해 가장 많이 받게 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 시간의 제약이 따른 구매상품일 경우에는 더 크게 작용하기 때문에 이러한 제품을 판매하는 기업은 이러한 심리를 이용한 정보제공과 프로모션 진행 한다면 좋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1 제품 성능 예측에 대한 불확실성
Ⅳ. 연구 2 의사결정 시간의 압박
Ⅴ. 연구 결과
Ⅵ. 결론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