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1948.jpg
학술저널

인적 네트워킹이 개인 커리어 성공에 미치는 영향

사회네트워크구조 이론을 중심으로 한 탐색적 연구

  • 99

본 연구는 효과적인 인적 네트워킹이 개인 커리어에 어떻게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가 있는지에 대해서 관련된 주요 선행 연구를 리뷰하고 연구결과의 요지와 연구의 의미를 재정리해보면서, 네트워킹과 개인 커리어 성공간의 상관관계를 조명한 주요 연구들의 전체적인 흐름과 논점을 공유함으로써 상기 주제에 대한 보다 체계적인 이해를 돕고자 함이 주요 목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기존의 연구들이 현재의 한국의 문화적인 맥락과 비즈니스 환경하에서도 여전히 유효한 것인지, 그렇지 않다면 이들 연구는 어떻게 접목되고 궤도가 수정되어 응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생산적인 질문을 던져봄으로써 새롭게 파생될 수도 있는 차기 연구의 방향과 논제에 대해서 제언을 해보고자 했다. 먼저 인적 네트워킹에 대한 여러 문헌가운데에서도 개인의 커리어 성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주된 변수와 이론을 중심으로 정리를 해보았다. 개인이 대인간에서 만들고 유지할 수 있는 통상적으로 인맥이라 불리는 연결고리(personal ties)의 개념 정리를 시작으로, 개인이 주도적으로 행하는 네트워킹 행동과 사회 네트워크 구조 속에서의 사회적 자본이라는 크고 통합된 주제를 순차적으로 다루어 보았다. 끝으로 아직 학문적으로는 여전히 논쟁의 소지가 있고 더 많은 실증 연구의 단계를 거쳐야 하지만, 네트워크 이론 속에서 또 다른 새로운 사회적 자본의 모델로 해석해볼 수 있는 서치펌 헤드헌터의 영역까지 포함시켜 현재까지 진행된 연구 결과의 추이와 의미를 제공함으로써 새로운 학문적 고민에 대한 화두를 던져보려고 했다.

This study aims to revisit and retranslate how effective human networking can be positively related to individuals’ career success providing more comprehensive key findings and views with the readers through in-depth literatures review which highlight the co-relations between effects of networking and career success. In addition to the points above, in this study, I have tried to check whether the key findings we have from the literatures are still effective enough in the context of Korean culture and business environment where we live and breathe. Otherwise I have also tried to make a few preliminary hypothesis questioning how those studies can be modified or adjusted in order to enhance its feasibilities in the contexts for further research and future development. Through this study, I have re-summarized current studies in terms of major variables positively impact personal career success mainly focusing on several influential theories. Interpersonal ties, networking behaviors, and social capital theories were covered with social network structure. Last but least, I have also included a controversial topic of “networking with search firms consultant” as an emerging key criteria for career success in a “potentially extended social capital theory” which is still under construction to facilitate a new productive debate in future.

Ⅰ. 서론

Ⅱ. 연구의 배경 및 구조적 개념

Ⅲ. 주요 연구의 논점

Ⅳ.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