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PEF와 입사제안 수용의도와의 관계에서 조직매력도의 매개역할

The Mediating Role of Organizational Attr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F and Intentions to Accept Job Offer : Focusing on Small Giant Firm’s Recruiting and Selection Scene

  • 55
151953.jpg

본 연구는 강소기업의 선발 및 채용 장면에서 대졸 구직자가 지각한 개인-환경 적합성(POF: person-organization fit)의 하위요소인 개인조직, 직무능력 및 욕구 적합도와 입사제안 수용 의도와의 관계에서 작용하는 조직매력도의 매개역할에 초점을 두고 있다. 만약 대졸 취업준비생들이 중소기업이라 할지라도 조직, 직무(욕구), 직무(능력) 적합성 인식을 촉진시킬 수 있다면, 이는 중소기업에 대한 조직매력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입사제안을 수용함은 물론, 향후 원활한 조직사회화 및 직무 성과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개인-환경 적합성을 세 가지 차원으로 세분화시켰으며, 각 하위요소들이 조직매력도(organizational attraction)와 입사제안 수용의도(intentions to accept job offer)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하였다. 개인-환경 적합성은 크게 조직과의 적합성(POF: person-organization fit), 직무와의 적합성(PJF: person-job fit)으로 구분되는데, 특히 본 연구에서는 개인-직무 적합성을 다시 ‘욕구(needs-supplies fit)와 능력(demands-abilities fit)’으로 구분하였다. 190명의 응답자로부터 수집된 자료를 이용하여 부트스트래핑을 이용한 매개효과 분석 결과, 조직매력도가 개인-환경 적합성의 하위요소와 입사제안 수용의도 간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할 것이라는 세 가지 가설은 모두 지지되었다. 실증 결과를 토대로 몇 가지 실무적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mediating role of organizational attr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eeker’s perceived person-environment fit and acceptance of job offers, focusing on small giant firm’s recruiting and selection scene. If the applicants are able to promote the perceived organization and job fit even if they are small giant firm, this positively affects the organizational attraction. It is expected that it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effective socialization and improvement of job performance in the future. In order to achieve this research objective, this study divides person-environment fit into three factors, and the effect of each sub-factors on organizational attraction and intentions to accept job offer. PEF is divided into POF (person-organization fit) and PJF (person-job needs supplies and demand abilities fit). The three hypotheses that the organizational attraction’s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factors of person-environment fit and intentions to accept job offer suggests that the bootstrapping analysis using the data collected from 190 respondents. Based on the empirical results, some pract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연구가설

Ⅲ. 연구의 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