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사 교과서 내 북한사 서술의 특징
Characteristics of Descriptions of North Korean History in Korean History Textbooks
- 임인재(Im, In Jae)
- 총신대학교 평화통일연구소
- 평화통일연구
- 제1호
- 2020.04
- 81 - 96 (16 pages)
남북관계의 갈등은 분단 직후부터 지금까지 지속되었던 문제이다. 전세계적으로 냉전은 종식되었지만 한반도 내의 이념 갈등은 여전히 존재한다. 그러나 이러한 상황에도 불구하고 평화통일을 추구해야 하는 것이 우리의 중요한 과제임을 또한 부정할 수 없다. 그러나 분단 이후 시간이 흐를수록 통일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기보다는 점차 북한과의 통일이 필요하지 않다는 인식 또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반공의식은 현 역사교과서에도 여전히 존재한다. 본 논문은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의 북한사 서술을 분석하는 과정을 통해 서술상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하고, 이를 통해 객관적인 북한사 교육의 방향성을 모색한다. 지금까지 역사교과서 내의 북한사 서술과 관련된 논의는 첫째, 이념적인 입장에서 서술한 연구이다. 둘째, 이념적 대립에서 벗어난 시도이다. 이러한 논의들은 대부분 한반도의 평화와 공존을 위한 서술 형태로 바뀌어야 함을 제시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교과서를 분석하고 역사교과서의 서술과 역사교육의 방향은 평화통일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전개되어야 할 것이다.
The conflict between the two Koreas has been a perennial problem since the division of the peninsula. Though the Cold War ended worldwide, ideological conflicts still exist on the Korean Peninsula. However, despite these circumstances, we cannot deny that it is also our important task to pursue peaceful reunification. However, as time goes by since the division of the peninsula, there is also a growing perception that unification with North Korea is not needed gradually, rather than emphasis on its importance. This anti-communist awareness still exists in current history textbooks. Through the process of analyzing descriptions of North Korean history in high school Korean history textbooks, this paper presents descriptive problems and ways to improve them, through which it explores the direction of objective education of North Korean history. Until now, discussions on the description of North Korean history in history textbooks have been first and ideologically described. Second, it is an attempt away from ideological confrontation. Most of these discussions suggest that they should be changed to a narrative form for peace and coexistence on the Korean Peninsula. Accordingly, the textbooks should be analyzed and the descriptions of history textbooks and the direction of history education should be developed in a way that seeks peaceful unification.
Ⅰ. 머리말
Ⅱ.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의 북한 서술 분석
Ⅲ. 교과서 내 북한사 서술의 특징과 개선방안
Ⅳ.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