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1970.jpg
학술저널

평화공동체 구축을 위한 관계적 정체성 교육

A study on the formation of the relational identity building the Peace Community

  • 127

본 연구는 평화통일을 위한 기독교교육적 이론형성과 성경의 통찰을 찾고자 시작되었다. 먼저 기독교교육이 통일을 이야기하는 것은 하나님의 형상을 회복하는 인간교육에 있어서 교육의 장인 가정, 학교, 교회, 사회가 분단으로 인해 여러 면에서 왜곡되어 있고, 그것들이 극복되어야 전인적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평화로운 통일을 위해 정치적인 접근만이 아니라 70년 이상의 분단으로 형성된 간극들을 함께 풀어갈 수 있는 삶의 역량들을 교육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고는 두 분단된 한반도의 양쪽 국민들이 함께 살아갈 준비단계로서 다양한 사람들이 서로를 이해하고, 받아들이며 함께 살아가기 위한 관계적 정체성을 교육하고자 한다. 이러한 교육의 기초이론으로 리꾀르의 자아정체성 이해와 내러티브 정체성 개념, 그리고 정체성 형성을 위한 내러티브 해석학을 다루고, 기독교교육의 원천적 이야기인 성경의 해석을 통해 성경과의 관계에서 재구성되는 관계적 정체성을 제시한다. 특히 룻기의 해석을 통해 아름답고 평화로운 공동체가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성경적 통찰을 발견하였다. 룻기에 등장하는 룻, 나오미, 보아스를 비롯하여 잠시 등장하는 밭의 일꾼들, 성문의 장로들, 베들레헴 여인들 모두가 자신의 유익만을 구하지 않고, 자발적인 섬김으로 타인의 안위를 해결하는 데 최선을 다한다. 모든 차이들을 극복하며 사랑으로 희생을 아끼지 않는 이 공동체 위에 하나님께서는 생명을 주시고, 평화의 공동체가 되게 하신다. 남북의 통일도 이렇게 평화의 공동체를 이루는 개개 사람들의 관계적 정체성 형성으로 준비되고 모두가 협력하여 아름답게 이루어지길 바란다.

This article is a Christian educational approach to a peaceful re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Christian education, especially with the perspectives of the reformed theology, purposes to restore God’s image in every aspect of the human development. However, our educational contexts have been influenced by the division of South and North Korea. We experience the painful traces of the division in each circumstance concerning the family, the school, the church and the societies. Korean educational situation is not so suitable for the formation of the sound human self-identity in relation with their environments. This study focuses on the human self-identity formation in order to live together with others peacefully. First of all, when we think about the reunification of Korea, we have to prepare for the relationship with others, namely the North Koreans, who have the different thoughts, cultures, attitude, and lifestyles due to a time difference of more than 70 years. The theoretical foundation of this article is P. Ricoeur’s understanding of self-identity and the narrative hermeneutics. Following this narrative identity theory, we try to interpret the story of Ruth in the Bible. Ruth is a beautiful and peaceful story of the people with the relational identity. The story of Ruth has various characters with differences. The Bible story of Ruth suggests a concept of the peaceful community in which each member does their best to respond to the close other’s needs. This community is led by the grace of the Lord. Hesed is the key word in the book of Ruth. Ruth, Naomi and Boaz, furthermore ten elders and the women in Bethlehem except the first kinsman-redeemer who was just called as “friend” or “such a one” without mention of his name, they made a cooperation to build their peace community. An autonomous participation for the help of the relatives in crisis makes the peace community. In this peace community God gave a birth of a life. The biblical book of Ruth shows the way of peace and life. The Bible invites us to follow that story in our own situation.

Ⅰ. 머리말: 기독교교육은 왜 통일을 이야기해야 하는가?

Ⅱ. 본론: 평화공동체 구축을 위한 기독교교육적 기초이론 형성

Ⅲ.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