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중국식 신화주의 담론 출현의 동인으로서 포크로리즘과 신화주의의 딜레마

Folklorism as the Driving Force Behind the Emergence of Discourse of Chinese Mythologism and the Dilemmas of Mythologism

  • 101
커버이미지 없음

최근 중국 신화학계에서 새로운 주류 담론의 하나로 떠오른 신화주의(神話主義, mythologism) 담론은 오늘날 신화의 활용과 재구성에 대한 연구를 주목적으로 하고 있다. 그것은“과거지향적[向後看]”이었던 기존 신화학의 경향을 극복하고 “현재지향적[朝向當下]” 신화학연구의 영역을 개척하겠다는 야심찬 기획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신화주의’라는 개념은 이전에 문화연구와 문학연구에서 이미 사용되고 있다가, 민속학자이자 신화학자인 양리후이(楊利慧)에 의해 중국 신화학의 콘텍스트에서 쓰이면서 이전과는 다른 함의를 지니게되었다. 문제는 이러한 중국식 신화주의 담론이 몇 가지 딜레마를 안고 있다는 사실인데, 그 딜레마는 사실 양리후이가 ‘신화주의’ 담론을 고안하는데 직접적 배경이 되었던 ‘포크로리즘(folklorism, 民俗主義)’에서부터 비롯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2000년대 중반부터 중국민속학계에서 조금 뒤늦게 ‘포크로리즘’ 개념을 수용하고 소개할 때, 이를 주도한 학자가 양리후이라는 점도 이 문제를 들여다보는데 중요한 단서가 된다. 본고는 이렇게 중국식 신화주의 담론 출현의 가장 직접적 동인이 되었던 포크로리즘의 출현과 그 경과, 중국민속학에서 포크로리즘의 수용과정, 그리고 그것이 중국식 신화주의 담론의 출현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신화주의 담론이 안고 있는 딜레마를 민속의 ‘진정성(authenticity)’과‘연속성’이라는 두 측면에서 고찰한다. 그리고 이러한 딜레마를 풀어가기 위한 해법으로 ‘역사적 시각의 확보’와 ‘에트노스(ethnos)의 신화학’을 제안한다.

Discourse of Mythologism, which emerged as one of the new major discourses in the recent Chinese mythological circle, aims to utilize and reconstruct myths in today’s world. It is an ambitious project that set its sights on overcoming the backward-looking trend of existing mythological studies, and pioneering a new path of present-facing mythological studies. Concept of “mythologism” has already been used in cultural and literary studies, but the recent concept inspired by the folklorist and mythologist, Yang Lihui entails an implication different from the previous context of Chinese mythology. The problem is that such discourse of Chinese mythology has a few dilemmas, which may have derived from “folklorism” that served as the immediate backdrop against which Yang Lihui’s idea of ”mythologism” arose. When the concept of “folklorism” was introduced and accepted somewhat belatedly to the circle of Chinese folklore studies since the mid-2000s, it was Yang Lihui who led the trend. This fact offers a critical clue as to how the problem can be viewed. This paper first examines the emergence and progress of “folklorism,” which was the immediate driving force behind the rise of Chinese mythologism, the process in which folklorism was accepted in Chinese folklore studies, and its effect on the emergence of Chinese mythologism. Then, the dilemmas of the Chinese mythologism will be explored from the two aspects of “authenticity” and “continuity” of folklores. In order to resolve the dilemmas, I propose securing the historical perspective and the mythology of ethnos as the solution.

1. 머리말

2. 포크로리즘 담론의 출현과 경과

3. 중국 민속학계에서 포크로리즘의 수용과 전개

4. 포크로리즘에서 신화주의로

5. 신화주의 담론의 딜레마

5.1 진정성(authenticity)의 굴레

5.2 현재지향성과 신화의 연속성

6. 맺음말: 역사적 시각의 확보와 에트노스의 신화학을 위하여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