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의 진로의사결정유형에 따른 진로장벽 인식, 진로탄력성, 진로준비행동의 차이
The Difference in Career Barriers, Career Resilience,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by Career Decision-Making Types in College Students
-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 미래교육학연구
- 미래교육학연구 제33권 제1호
-
2020.0573 - 96 (24 pages)
-
DOI : 10.35283/erft.2020.33.1.73
- 781

이 연구는 대학생들의 진로의사결정유형의 하위유형에 따라 진로장벽 인식, 진로탄력성, 진로준비행동에서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자료 수집을 위해 전국의 대학교 3, 4학년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진로의사결정유형의 수준에 따라 합리적 집단, 의사결정 어려움 집단, 다중형 의사결정 집단, 의존적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군집 집단에 따른 진로장벽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으며, 합리적 집단의 진로장벽이 가장 낮았으며, 다중형 의사결정 집단의 진로장벽이 가장 높았다. 셋째, 군집 집단에 따른 진로탄력성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으며, 다중형 의사결정 집단의 진로탄력성이 가장 높고, 의사결정 어려움 집단의 진로탄력성이 가장 낮았다. 셋째, 진로준비행동의 차이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중형 집단의 진로준비행동 수준이 가장 높았고, 의사결정 어려움 집단의 진로준비행동 수준이 가장 낮았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진로의사결정유형을 고려하여 진로탄력성과 진로준비행동을 촉진하고, 인식하고 있는 진로장벽을 극복해나갈 수 있도록 맞춤형 진로지도나 프로그램을 제공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career barriers, career resilience,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by the career decision-making types. For the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with the juniors and seniors in college. The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esult of the cluster analysis revealed four different clusters of career decision-making types: Rational type, Difficulty in Decision-making type, Multiple Decision-making type, and Dependent type. Seco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y career decision-making types in perceived career barriers. The levels of perceived career barriers were lowest in the Rational type, and highest in the Multiple Decision-making type. Thir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career resilience. The levels of career resilience were lowest in the Difficulty in Decision-making type, and highest in the Multiple Decision-making type. Forth,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y career decision-making types in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were lowest in the Difficulty in Decision-making type, and the highest in the Multiple Decision-making type. This study shows that it is necessary for university to provide career counseling and career programs in consideration of students’career decision-making types to help them promote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and career resilience and overcome perceived career barriers.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