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잡계 리더십이 구성원 민첩성에 미치는 영향: 개인적 양면성의 매개효과와 상호작용 공정성의 조절효과
The Effect of Complexity Leadership on Employee’s Agility: Moderating Effect of Interactional Justice Through Individual Ambidexterity
본 연구는 복잡계 리더십이 구성원 민첩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고 개인적 양면성의 매개효과와 상호작용 공정성의 조절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최근 조직을 둘러싼 경영환경은 불확실성이 더욱 커지고 복잡성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경영환경 변화에 효과적으로 적응할 수 있는 구성원 행동에 대한 관심과 더불어 조직의 변화에 적절한 환경과 조건을 촉진해 줄 수 있는 리더의 역할에 대한 논의가 필요해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구성원 민첩성에 대한 연구는 조금씩 이루어지고 있으나 구성원 민첩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새로운 리더십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구성원 간 상호의존성, 상호작용 및 갈등을 촉진함으로써 조직에 적합한 새로운 변화를 만들어 가는 복잡계 리더십과 구성원 민첩성 사이의 관계를 구체적으로 규명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개인 및 대인 동적역량 이론의 관점에서 둘 사이의 직접효과에 대한 실증은 물론 개인적 양면성의 매개효과에 대한 검증을 통해 구체적인 메커니즘을 밝히고자 하였다. 또한 복잡계 리더십과 개인적 양면성의 관계에서 상황조절 변인으로 상호작용 공정성의 조절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자기보고형 설문방식의 측정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동일방법편의를 최소화하기 위해 종속변수를 시차를 두고 측정하였고, 직무 정서(긍정정서, 부정정서)를 통제변수로 적용하였다. 가설의 검증에는 국내 300인 이상 규모의 다양한 업종의 22개 기업에서 근무하는 직장인들로부터 획득된 303부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첫째, 복잡계 리더십과 구성원 민첩성 간의 직접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복잡계 리더십은 개인적 양면성을 매개로 하여 구성원의 민첩성을 촉진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복잡계 리더십과 개인적 양면성의 관계에서 상호작용 공정성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연구 가설과 별개로 조절된 매개효과를 탐색한 결과 복잡계 리더십이 개인적 양면성을 경유하여 구성원 민첩성에 영향을 미치는 효과가 상호작용 공정성의 수준에 의존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의 이론적⋅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향후 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complexity leadership on employee’s agility, an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individual ambidexterity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interactional justice. The business environment surrounding organizations has increased uncertainty and complexity.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discussion on the role of leaders who can promote the environment and conditions appropriate to the change of the organization as well as the behavior of employees that can effectively adapt to changes in the business environment. But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new leadership that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employee’s agi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lexity leadership and employees’ agility to make new changes appropriate for the organization. To this end, this study attempted to verify the specific mechanism between complexity leadership and employees’ agility as well as the mediating effect of individual ambidexterity from the perspective of meso level’s dynamic capability theory. In addition, this study attempte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interactional justice as a situational variab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lexity leadership and individual ambidexterity. To minimize the common method bias that can occur due to the self-report questionnaire method, this study measures the dependent variable with a time lag. The positive emotions and negative emotions expressing emotional state in job situation were used as control variables. A total of 303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employees working in the companies of various industries over 300 employe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as below; First, the direct effects of complexity leadership and employee’s agility were confirmed to be invalid. Second, complexity leadership was confirmed to promote employee’s agility by mediating individual ambidexterity. Third, the moderating effect of interactional justice was positive between complexity leadership and individual ambidexterity. This study identifies the mechanism of promoting employee’s agility, which is very essential for organizational agility promoted by a leadership and an employee s individual ability. Especially, it is a very meaningful study for a new leadership research about ‘Complexity Leadership’, which has not been much studied in Korea yet. In addition, new research implication for the moderating effect of interactional justice in the process of decision-making, was shown.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연구가설
Ⅲ. 연구방법
IV. 연구결과
V. 결 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