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2006.jpg
KCI등재 학술저널

1930년대 프랑스 음악 ‘장’의 형성 과정: 부르디외의 ‘장’(champ) 이론을 중심으로

Un processus de formation du ≪champ musical≫ des années 1930: fondé sur la théorie du champ de Bourdieu

  • 154

본 연구는 1930년대에 형성된 프랑스의 음악산업을 피에르 부르디외의 ‘장’ (champ)이론을 통해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부르디외의 ‘장’ 이론은 미시적 사회공간들을 역사적 산물로 파악한다. ‘장’ 이론은 전통적 문화의 일부에 속하였던 샹송의 생산과 향유가 새로운 관계망 속에서 창작, 매개, 소비되는 과정의 매커니즘과 그 속에서 등장한 새로운 권력, 즉, 상징 권력을 설명하는 데 유용하다. 음악 ‘장’에서 샹송은 시장적 가치를 지닌다. 즉, 음악은 상징적 자본을 얻기 위한 음악 ‘장’ 주체들의 전략적 도구가 되었다. 음악 ‘장’의 주체들은 차별화된 아비투스에서 비롯된 서로 다른 전략들을 펼치며 상징적 권력 투쟁에 합류하였다. 음악 ‘장’ 속에서 ‘라디오’는 새로운 헤게모니를 쥔 주체로 등장하였다. 특히 가수는 라디오의 ‘스타화’ 전략을 통해 스스로 상징적 권력을 창출할 수 있는 기회를 얻기 시작하였다.

Cette étude a pour objectif d analyser l industrie musicale française, formée dans les années 1930 à travers la théorie du champ de Pierre Bourdieu. La théorie de champ comprend les espaces microsociaux comme des produits historiques. La théorie du champ est utile pour expliquer un mécanisme du processus de création, de médiation et de consommation de la chanson dans un nouveau réseau de relations, et le nouveau pouvoir, c’est à dire, le pouvoir symbolique. Dans le ≪champ musical≫, la chanson a une valeur marchande. Autrement dit, la musique est devenue un outil stratégique des agents du champ musical qui luttent pour détenir le capital symbolique. Les agents musicaux ont participé à des luttes pour le pouvoir symbolique avec différentes stratégies provenant de différents habitus. Dans le champ musical, la radio est apparue comme l’agent détenant la nouvelle hégémonie. En particulier, dans la ‘starisation’, le chanteur a commencé à pouvoir avoir l occasion d’obtenir le pouvoir symbolique.

1. 머리말

2. 음악의 사회학적 고찰

3. 분석의 대상과 방법

4. 음악 ‘장’으로의 과도기

5. 음악 ‘장’ 의 주체들

6.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