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 공연예술로서 ‘한국변검’의 창작적 특징과 가치 탐색
-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학술대회자료집
- 2014년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 2014.09
- 1 - 11 (11 pages)
본 논문은 한국적 문화표상인 탈과 탈춤의 미학과 원형상을 응용하여 창작된 ‘한국변검’의 창작배경과 예술적 가치, 공연적 특징을 살펴보는 글이다. ‘한국변검’은 중국문화의 대표적인 상정코드의 하나인 ‘변검’의 공연예술기법을 전수받았으되, 창작자에 의해 한국으로의 수용과정에서는 가장 한국적인 문화코드인 탈과 탈춤의 예술적 미학과 원형들을 활용하여 창작되었다는 특징이 있다. 아울라 파생콘텐츠로서 ‘인형변검’이 동시에 제작되어 공연되고 있다. 새로운 창작소재의 발굴을 끊임없이 요구받고 있는 콘텐츠산업시대를 맞고 있다. l인 공연예술로서 ‘한국변검’이 창작, 상연되기 시작한지 5년이 넘었다. 본고는 새로운 공연예술장르로서 ‘한국변검’의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해 중국 변검과의 공연예술적 차별성을 파악하고, 한국적 토양과 정서를 가진 창작예술로서의 가치가 많이 있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변검’이 창작된 이래 다양한 매체와 공연현장에서 상연된 현황들을 정라해봄으로써 공연예술장르로 새롭게 부각되고 있는 ‘한국변검’의 활용가능성과 가치를 탐색하고자 한다. ‘한국변검’(‘인형변검’ 포함) 은 콘텐츠 창작의 소재를 우리문화의 원형과 미학적 특질들을 적극 활용하고 있다. 문화는 타문화와 섞이면서 새로운 문화로 거듭나기도 한다. 한국과 중국의 문화적 유사성이 있는 특질들이 접변과정을 거치면서 가장 한국적인 변이의 형태를 보이는 것이 ‘한국변검’이기도 하다는 점에서 전통 공연예술의 특정한 장르로 안착되기를 바라며, 이를 위해서는 좀 더 많은 학술적 연구와 공연에 대한 체계적인 정립이 필요하다.
1. 문제제기
2. ‘한국변검’의 창작 배경과 공연적 특징
3. ‘한국변검’ 공연 사례와 활용가능성
4. 남는 문제: 결론을 대신하여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