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대회자료
케이팝(K-Pop)의 현황과 국내 음악콘텐츠의 미래
-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학술대회자료집
- 2017년 하계학술대회 자료집
- 2017.06
- 185 - 188 (4 pages)
디지털시대에 접어들면서 세계 음반 산업은 꾸준히 규모가 줄어들었고, 2015년에는 음원매출이 음반매출의 규모를 뛰어넘게 되었다. 또한 유튜브(Youtube) 등의 동영상 사이트의 발전을 통해, 막대한 자본과 마케팅 없이도 음원의 해외수출이 용이해지게 되었다. 국내 음악콘텐츠 가운데서도 케이팝(K-pop)음악 산업의 흥행이 신한류(新韓流) 현상의 주역으로 떠올랐지만, 비슷한 아이돌 댄스음악으로 획일화 된 장르 특성상의 한계로 인해 2-4년 안에 수명이 다 할 것이라는 부정적인 전망이 나왔고, 실제로 현재 케이팝의 전망이 좋지 않다는 의견이 대다수이다. 그리하여 본 논문에서는 케이팝 장르의 전반적인 특징과 케이팝 음악 산업의 부정적인 전망의 원인을 분석하고, 글로컬라이제이션의 성공적인 사례인 미국 힙합의 세계화와 인도 발리우드 음악의 성공에 빗대어 국내 음악콘텐츠의 장기적인 세계화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로 한다.
1. 머리말
2. 케이팝(K-Pop)의 특징과 한계점
3. 국내 음악콘텐츠의 미래
4. 맺음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