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정보 텍스트와 문학 텍스트 읽기 상황에서 독자의 f-NIRS 뇌파 특성 분석

Analysis of the Reader s f-NIRS Brainwave Characteristics in the Context of Informational and Literary text reading

  • 746
152019.jpg

본 연구의 목적은 정보 텍스트와 문학 텍스트 읽기 상황에서 독자의 f-NIRS 뇌파 특성을 분석하여 교육적 시사점을 얻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두 읽기 상황 fNIRS 뇌파 특성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검사 도구로 NIRSIT 장비를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과제 A에서는 DLPFC(L), FPC(R), VMPFC(L) 영역이 두드러지게 활성화되었고, 과제 B에서는 OFC(R, L), FPC(L) 영역의 활성화가 두드러졌으며, 과제 B보다 넓은 영역이 활성화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브로드만 8개 영역 중 두 과제 간 통계적 유의성은 목표 의식 및 메타인지를 담당하는 FPC(R)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이 읽기 교육 및 문학 교육 전반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첫째, 정보 텍스트 읽기 상황에서 텍스트 내용에 대한 독자의 내적 보상을 불러일으키고 유지시킬 필요가 있다. 둘째, 정보 텍스트 읽기 상황에서도 문학 텍스트 읽기 상황에서처럼 활성화되는 감정적 즐거움을 느끼게 할 필요가 있다. 셋째, 문학 텍스트 읽기 상황에서도 감상의 목적을 유도할 필요가 있다. 넷째, 텍스트 유형에 따라 읽기 상황의 목적을 학습자에게 분명히 인지시켜야 한다. 다섯째, 각 읽기 상황에서의 맞춤형 학습 전략 설계가 필요하다. 여섯째, 읽기 및 문학 교육은 각 영역에서 학생들에게 다양한 텍스트 읽기 경험을 제공해야 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tain educational implications by analyzing the reader s f-NIRS brainwave characteristics in the context of informational and literary text reading. In order to solve the purpose, the two reading contexts were analyzed for common and differences in fNIRS brainwave characteristics. NIRSIT equipment was used as an inspection tool. Analysis showed that DLPFC(L), FPC(R), and VMPFC(L) areas were significantly activated in Task A, OFC(R, L), FPC(L) areas were active in Task B, and that areas that were wider than Task B were being activated. In addition,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seen in the FPC(R) area responsible for the objective awareness and meta recognition of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the two tasks out of the eight areas of broadmann alone. This proposed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reading and literature education as a whole. First, in the context of informational text reading, it is necessary to generate and maintain the reader s internal compensation for text content. Second, in the context of reading informationl text, it is necessary to make people feel the emotional pleasure that is activated as in the context of literary text reading. Third, it is necessary to induce the purpose of appreciation even in literary text reading situations. Fourth, depending on the type of text, the purpose of the reading situation should be clearly recognized by the learner. Fifth, customized learning strategy design for each reading situation is required. Sixth, reading and literature parts need to provide students with a variety of text reading experiences in each parts.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