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2047.jpg
학술저널

대형 재난 발생 시 법원의 대응과 조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untermeasures Used by Courts Against Large-Scale Disasters

  • 55

오늘날 우리는 항상 ‘위험’ 속에서 살아가고 있다. 위험은 늘 우리의 생명, 건강과 재산을 위협하고, 사회와 환경을 파괴해왔다. 특히 2017년 11월 15일의 포항지진과 2019년 4월 4일의 속초산불은 우리 법원이 대형 재난에 어떻게 대비하고 대응해 나가야 하는지 다시 한 번 고민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이에 본 연구보고서는 대형 재난 발생 시 법원의 대응과 조치에 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대형 재난 발생 시에 법원의 재난 대응 방식은 두 가지 매뉴얼에 따라서 실현될 수 있다. 하나는 ‘법원의 통상적인 첫 번째 대응 방식 매뉴얼’이고, 다른 하나는 ‘법원의 업무지속 매뉴얼’이다. 전자는 오늘날 일정 수준에서 마련되어 있는 것으로 파악되는 반면, 후자는 여전히 수립되어 있지 않다. 오늘날 현존하는 ‘법원의 통상적인 첫 번째 대응 방식 매뉴얼’의 관점에서 ‘포항지진’과 ‘속초산불’의 사례를 통해 특별히 발견된 문제점들은 소송기록물, 등기업무, 안전취약계층과 재난 복구 대비 보험가입이다. 소송기록물과 관련하여, 첫째, 향후 새로운 전산정보센터가 건축되는 경우에는 건물 내의 면진설계를 통해서 전산정보센터 내 서버 등 시설물이 보호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둘째, 전산정보 제1센터와 DR센터로 전송되지 않은 전자기록물의 문제는 ‘법원의 업무지속 매뉴얼’에서 필요한 ‘드라이브-어웨이 키트(drive-away kits)’를 사용함으로써 해소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오늘날 종이기록물 또는 문서는 직접 운반되어야 하고, 그 순서는 일반적으로 ‘비밀문서 → 구속형사사건 → 불구속형사사건 → 영구·반영구 보존문서 → 감독사무 → 예산에 관한 문서 → 중요 행정문서철 → 부서별 중요 문서건 명부’ 등이 될 것이다. 등기업무와 관련하여 재난으로 인해 야기되는 등기순서 선후 관계의 역전 문제는, “등기소에 정전, 전산망 훼손, 전산시스템 장애 등으로 부동산등기시스템의 정상작동이 불가능하여 서면에 의한 등기신청사건을 접수할 수 없는 경우의 처리방법”을 규정한 「비상대비등기업무처리지침」을 준수함으로써 해결될 수 있을 것이다. 안전취약계층과 관련하여, 재난 발생 시에 관리자, 자력대피 가능자 및 자력대피 불가능자는 사전에 마련된 ‘재난 발생 시 대피행동 요령(매뉴얼)’을 평상시에 숙지하거나 적어도 비상 상황에서 신속하고 정확하게 실천함으로써 재난으로부터 보호되어야 할 것이다. 재난 복구 대비 보험가입과 관련해서, ‘법원 재난 규정’을 마련하는 경우에 이 점이 규정의 내용 안에 담길 수 있도록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법원의 업무지속 매뉴얼은 미국과 일본의 문헌들에 기초하여 완성된 본 연구보고서의 ‘작업시트 A-Y’에 따라서 실행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앞서 언급된 ‘법원의 통상적인 첫 번째 대응 방식 매뉴얼’과 ‘법원의 업무지속 매뉴얼’은 오늘날 그 근거규정이 부재하다. 그러나 통일적이고 체계적인 재난 대응을 위해 두 가지 대응 방식 매뉴얼의 수립을 근거지울 수 있는 ‘법원 재난 규정’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이때 그 규정의 내용들은 재난안전법에 기초하여 확정될 수 있으며, 다만 법원재난 규정의 형식은 ‘대법원규칙 등’으로 정해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We live in a world full of risks. Risks constantly threaten our lives, health, and property, and have resulted in destruction of our society and environment. In particular, the Pohang earthquake that occurred on November 15, 2017, and the Sokcho wildfire that started on April 4, 2019, have given courts of Korea an opportunity to ponder how to prepare for and respond to a large-scale disaster.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discuss countermeasures used by courts in the event of a large-scale disaster. In the event of a large-scale disaster, countermeasures used by courts may be stipulated in the form of two kinds of manuals. One is a manual for courts’ first disaster response, and the other is a manual for courts’ continuity of operation. Today, to some extent, the former has already been prepared, whereas the latter has not yet been written. As for the existing manual for courts’ first disaster response, in the cases of the Pohang earthquake and the Sokcho wildfire, problems have been identified in four areas: litigation records, registration services, court workers who are vulnerable to safety risks, and insurance for disaster recovery. Courts are currently not prepared for the secure and ongoing transfer of litigation record in the event of a disaster; however, there are steps that can be taken to prepare. First, when a new data center is built in the future, the seismic isolation design of the building must be focused on protecting facilities such as servers in the data center. Second, problems arising from electronic records not transmitted to the primary data center located in Bundang and the disaster recovery (DR) center located in Daejon may be solved by using the “drive-away kits” required by the manual for courts’ continuity of operation. Third, paper records and documents must be transported directly, and the sequence of transportation must prioritize paper records and documents based on risk. The reversal problem of the registration order caused by a disaster with respect to the registration services may be solved by complying with the Registration Service Guidelines for Provision of Emergency, which stipulate “how to handle the case where a written application for registration is impossible because the real estate registration system cannot be operated due to a power failure, damage to the computer network, or failure of the computer system in a registry office.” Regarding the vulnerability of court workers to safety risks, in the event of a disaster, administrators, those who can evacuate by their own efforts, and those who cannot evacuate by their own efforts should familiarize themselves with the prearranged “Manual for Evacuation in the Event of a Disaster”, or should protect themselves from a disaster by implementing the manual quickly and accurately, at least in an emergency. Regarding insurance for disaster recovery, when developing a “Courts’ Disaster Response Regulation”, it must be ensured that provisions on such an insurance are stipulated in the regulation. The manual for courts’ continuity of operation may be implemented in accordance with Worksheet A to Y of this study based on the U.S. and Japanese literature. Lastly, the aforementioned manual for courts’ first disaster response and manual for courts’ continuity of operation do not have applicable grounds today. However, for unified and systematic disaster response,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Courts’ Disaster Response Regulation” that can serve as a ground for establishing two response manuals. In that case, the content of the regulation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Framework Act on the Management of Disasters and Safety, and such a regulation may be prescribed in the form of a Supreme Court regulations.

제1장 서론

제2장 법원 재난의 국내 사례를 통한 문제점 검토

제3장 재난 일반

제4장 재난 발생과 법원의 구체적 대응

제5장 재난 발생 시 외국 법원의 업무지속 매뉴얼

제6장 법원의 재난 대응 가이드 제시

제7장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