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2059.jpg
KCI등재 학술저널

「하타의 등불」에서 비음명상 (nādānusaṅdhāna)고찰

A Study on the Nadanusaiidhana in Ha,tbapradr pika

  • 76

나다(nāda)는 내면에서 들리는 소리로, 북을 치듯 부딪쳐서 들리는 소리가 아니라 부딪치지 않고 울리는 신비로운 소리(秘音)이다. 비음명상의 목표는 다양하고 미세한 비음을 듣는 것이 아니라, 비음마저 소멸시키는 것이고, 최종에는 비음이 소멸될 때 비음에 묶인 마음도 소멸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는 HP의 최종 목표와도 같다. 마찬가지로 고전요가에서도 마음의 작용을 멈추는 것을 요가(YSl.2)라고 하고 이것을 고전요가의 목표로 삼는다. 하지만 고전요가에서 마음작용의 멈춤은 제감, 응념, 선정으로 이어지는 심리 수행의 심화과정을 통해 삼매가 성취된다고 하는 반면 하타요가에서는 쁘라나를 소멸함으로써 쁘라나와 함께 작용하는 마음이 소멸된다고 한다. 이처럼 두 요가 체계는 마음을 소멸하는 방법론에 있어서 다소 차이가 있다. 하지만 비음명상은 하타요가가 주로 추구하는 방법론과는 다른 쁘라나의 소멸이 아닌 비음의 소멸을 마음소멸의 방편으로 삼는다. 더욱이 비음명상이 고전요가의 팔지요가와 함께 언급되는 것은 비음이라고 하는 소리에 집중하고 그 소리가 최종에는 사라지고 마음이 소멸된다고 하는 일련의 행법들이 고전요가에서 하나의 대상이 집중을 하고 집중의 상태가 길어지고 깊어지면 종국에는 그 대상마저 사라진 상태를 삼매라고 하는 것과 방법론적 측면에서 유사하다. 따라서 거친 소리에서 미세한 소리로 궁극에는 비음의 소멸까지가 고전요가의 팔지요가에서 제감부터 명상에 이르는 삼매를 성취하는 방법으로 설명이 가능하다. 물론 비음명상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먼저 결절이 뚫리고 그 내면의 소리, 즉 수슘나에서 들리는 소리를 듣고 그리고 그 너머의 소리의 소멸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아사나, 무드라, 반다 그리고 쁘라나야마는 필수적이며 선행되어야 한다.

Nada is a sound that is heard from the inside, not a sound that strikes like a drum, but a very mysterious sound that does not strike, The mysterious sound gradually decreases from a laud sound like thunder, becoming a flute, and finally a small sound like a drop, and finally into an inaudible sound. The goal of mysterious sound meditation is not to hear various and fine sounds, but to extinguish even the mysterious sounds. At the end, the goal is aims to extinguish the mind bound to it to when the mysterious sound is extinguished This is the same as HP s final goal. likewise, In classical yoga, stopping the work of the mind is called yoga (YSl.2) and this is the goal of yoga. however, in classical yoga, the stopping of mind action is achieved through the deepening process of psychological performance which leads to sensory organ control, concentration, and meditation On the other hand, in Hathayoga, the mind that works with prānas is said to be disappeared by the extinction of the prānas. These two yoga systems differ in the methodology of stopping the mind. However, mysterious sound meditation uses the extinction of mysterious sounds as the means of extinction, not the extinction of prāna, which differs from the methodology mainly pursued by Hatha Yoga. Moreover, the mysterious sound meditation is mentioned with astanga of classical yoga because it concentrates on the sound called mysterious sound and eventually disappears and the mind disappears. This is because these series of practices are similar in terms of how to achieve samādhi in classical yoga, that is, when one focuses on one object and the state of concentration becomes longer and deeper, the object eventually disappears. Thus, from the coarse to the subtle, at last, the disappearance of the mysterious sound can be explained by the method of accomplishing the samādhi from the control of the senses to the meditation of the astanga stages of classical yoga. Of course, in order to perform mysterious sound meditation, āsana, mudrā, banda and prānāyama must be necessary and preceded in order to hear the inner sound, that is, the sound heard from ṣumṇa, and to reach the extinction of the sound beyond.

Ⅰ. 들어가기

Ⅱ. 나다의 의미와 활용

Ⅲ. 비음명상과 무드라

Ⅳ. 비음명상의 4단계

Ⅴ. 비음명상의 수련방법과 유의사항

Ⅵ. 비음명상과 팔지요가

Ⅶ. 비음명상과 마음의 소멸

Ⅷ. 나가기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