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의료법 개정 이후 급증해온 여성의원 및 남성의원의 온라인 의료광고에 대한 담론분석을 통해 사회역사적 구성물로서의 성(性)의 의료화와 성별 고정관념을 고찰하였다. 연구자료는 국내 3대 포털사이트에서 ‘여성의원’ 및 ‘남성의원’을 검색하여 우선순위 및 적극성을 고려해 선정된 총 14곳(여성의원 6곳, 남성의원 8곳) 의원 웹사이트의 성기성형 의료광고물이다. 연구방법은 비판적 담론분석과 여성주의 질적 내용분석법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의원 웹사이트의 성기성형 광고홍보물은 공통적인 ‘의료광고를 통해 표상되는 성의 의료화’와 성별에 따라 ‘의료광고를 통해 확대 재생산되는 성차별적 고정관념’이라는 두 영역으로 나누어 의료사회학적으로 해석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성이의료화되는 양상과 그 과정에서 영속화될 수 있는 성별 규범을 확인하였다는 데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의과학의 권위는 의료광고를 개인의 건강과 직결시킴은 물론 성적인 몸을 상업적으로 의료화하며 사회의 성차별을 정당화하는 성차를 재생산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사전심의 및 사후관리가 요구된다.
Since the revision of Korean Medical Law, online medical advertisements have continued to increase. This paper examines the medicalization of sex and gender stereotypes embedded in such advertisements, focusing on female/male genital cosmetic surgery. Fourteen clinic websites that actively advertise these surgeries were selected for critical discourse and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from feminist perspective. The first part of this paper looked at the medicalization of sexuality through genital cosmetic procedures in general. The second part examines the gender differences in that medicalization through the advertisements: hymen reconstruction regarding the ideology of virginity, penile enlargement with phallocentrism. Considering advertisements may reflect and perpetuate what society desires, this paper concluded with a few suggestions on medical advertisements system.
Ⅰ. 연구의 필요성
Ⅱ. 선행연구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